학술논문
대안교육과 대안학교에서의 음악수업
이용수 416
- 영문명
- A Study on Music Education in Alternative Education and Alternative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수(Lee, Hyunsu)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7권 제2호, 131~15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음악교육 그 가치의 범주가 점차 성장함에 따라 대두 되고 있는 대안학교의 교육개념과 대안 학교의 음악수업을 분석 하였다. 우선적으로 대안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음악수업의 특성을 보기 위해 ‘대안’과 ‘대안학교’라는 개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러한 개념이 도입된 배경에서 발전과정을 고찰하였다. 대안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수업에서 도출된 결과물을 수업의 시수와 내용, 교육의 환경, 그리고 음악 교사와 학생의 기준으로 각각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음악 수업의 질과 균형의 관계가 각 제도권 내에 종속되어 있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은 각 교육 집단의 교육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been summariz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alternative schools and its music classes since the growth in interests for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has been more prominent. In the first instance, the concept of the alternative and alternative school have been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class taught in alternative schools. Therefore, its background of origins and its development process have been observ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orough investigation. Thus, the following five criterias of class time, class contents, educational environment, music teachers and students classification have been segmented according to the output from the above analysis data observed. As a result, the inter-relation between its quality and the balance of music class can be differentiated in relations to which the subordinate public education system it is under. And this factor shows a great influence can be resulted on its expectation for each educational organization.
목차
Ⅰ.서론
Ⅱ.본론
Ⅲ.대안교육기관에서의 음악수업
Ⅳ.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서양음악사 서술 방식 및 내용 구성 고찰
- 하브루타 음악 수업 시 학생의 질문 유형 특성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
- 학습의 매개로서의 음악점자의 활용을 위한 다양식성의 역할
- An Investigation of Field-based Experiences for Pre-service Music Teachers in Massachusetts: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Strategies Governing Field-based Experiences for Music Teacher Candid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 한․중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음악 비교 연구 -한국 미래엔 본과 중국 人民音樂出版社본을 중심으로-
-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의 효과
- 특수교육 초등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
- 중학교 음악수업을 위한 북한음악 선호도 분석
- 음악대학생들의 전공별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대안교육과 대안학교에서의 음악수업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