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의 매개로서의 음악점자의 활용을 위한 다양식성의 역할
이용수 99
- 영문명
- Roles of Multimodality for Improving the Affordability of Braille Music as a Mediation for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박휴용(Park, Hyu-Yo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7권 제2호, 27~5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촉각 인식에 기반하여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개발된 음악점자가 학습의 매개로서 갖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식적 학습의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고가 설정한 구체적 연구문제 두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학습의 매개로서 음악점자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음악점자의 활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둘째, 시각장애인의 음악교육에 있어서 양식성 활용 및 기술적 지원의 현황과 문제점이 무엇인가?본고는 위 두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음악교육 현장의 시각장애인 및 정안인 교사 및 학생들과의 심층면담 결과를 분석하여 음악점자 양식성의 확장을 위한 개념적 구조를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촉각에만 의존하는 음악점자는 시각장애인 음악인들이 학습하고 활용하기에 쉽지 않고, 음악점자의 활용을 보조하는 기술적 도구들도 표준음악을 전적으로 재현해내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음악교육에 있어서 다양식적 학습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다양식성을 확장하기 위한 원리와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limitations and dilemmas of Braille music as a medium of learning standard music for the musicians with visual impairment.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is based on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Braille music as a mediation for music learning and how they affect the affordability of Braille music?; second, what modalities are used in actual music practices and what are the realities and problems of technical support? Based on these questions,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the music teachers and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is paper suggests a new structure for expanding the multimodality of Braille musi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ighlight that, due to the sole reliance on haptic sense, Braille music is not fully utilized and the technical supports are not capable of perfectly representing standard music.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argues for the necessity of multimodal approaches in music
education.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some principles for expanding non-visual modality and the significance of it for music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서양음악사 서술 방식 및 내용 구성 고찰
- 하브루타 음악 수업 시 학생의 질문 유형 특성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
- 학습의 매개로서의 음악점자의 활용을 위한 다양식성의 역할
- An Investigation of Field-based Experiences for Pre-service Music Teachers in Massachusetts: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Strategies Governing Field-based Experiences for Music Teacher Candid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 한․중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음악 비교 연구 -한국 미래엔 본과 중국 人民音樂出版社본을 중심으로-
-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의 효과
- 특수교육 초등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
- 중학교 음악수업을 위한 북한음악 선호도 분석
- 음악대학생들의 전공별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대안교육과 대안학교에서의 음악수업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