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서양음악사 서술 방식 및 내용 구성 고찰
이용수 638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scription Method and Composition of Western Music History in Music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임새롬(Im, Saero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7권 제2호, 153~18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음악 교과서의 서양음악사를 중심으로 서술 방식 및 내용 구성의 고찰을 통해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 14종과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10종의 서양음악사 텍스트에 수록된 역사·문화적 배경과 음악적 특징 간의 서술 방식, 시대 구분 및 연도, 시대별 분량을 비교·분석하고 내용 구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설명식 텍스트에 의존하고 있고, 여러 부분에서 시대를 연결하지 못하는 미씽 링크가 발견되었다. 또한, 연대표의 부재, 연도의 표기, 진술된 학습목표와 학습내용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있었다. 따라서 효과적인 음악사 교육을 위해 내러티브식 텍스트 서술과 삽화의 효율적인 활용, 최근 경향을 반영한 교과서 가창영역과 같이 음악사 서술도 동시대 음악을 포함하여 다원적인 관점을 수용하여 서술할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s through analyzing the description method and composition of western music history in music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made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description method
between the historical/cultural background and musical features, and also about the periodization, years and the quantity of each era in 14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nd 10 high school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After that, it has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western music history.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most of music textbooks are depending on the description type of texts, and also found that there are several ‘missing links’which have failed to connect each era. Furthermore,it is necessary to discuss about the correlation of learning goals with learning contents as well as the absence of chronological table of musical history and year mark. Thus, this study has suggested that music textbooks use more narrative type of texts, efficient use of illustrations in order to make effective education in music history and expects there to be more attention for the music history description to the multidisciplinary manner including contemporary music
as with recent trends of textbooks in the vocal section.
목차
Ⅰ.서론
Ⅱ.음악 교과서의 음악사 서술 방식 및 내용 구성 고찰
Ⅲ.음악사 서술 및 내용 구성의 방향 제안
Ⅳ.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서양음악사 서술 방식 및 내용 구성 고찰
- 하브루타 음악 수업 시 학생의 질문 유형 특성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
- 학습의 매개로서의 음악점자의 활용을 위한 다양식성의 역할
- An Investigation of Field-based Experiences for Pre-service Music Teachers in Massachusetts: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Strategies Governing Field-based Experiences for Music Teacher Candid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 한․중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음악 비교 연구 -한국 미래엔 본과 중국 人民音樂出版社본을 중심으로-
-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의 효과
- 특수교육 초등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
- 중학교 음악수업을 위한 북한음악 선호도 분석
- 음악대학생들의 전공별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대안교육과 대안학교에서의 음악수업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