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ctivity Patterns of Fandoms Across Generations : Focusing on BTS’s ARMY and Lim Young-woong’s Youngwoong Era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박선민(Sun Min Park)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35호, 11~2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중음악산업 내 팬덤의 세대별 특성을 분석하고, 각 세대별 팬덤이 가지는 문화적, 산업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그 대상으로는 갤럽이 발표한 2년 연속 올해의 아티스트를 수상한 두 가수, BTS와 임영웅의 팬덤인 MZ세대의 대표팬덤아미와 기성세대 대표팬덤인 영웅시대를 비교하였으며, 팬덤 당 30명의 인터뷰를 통해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소통방식에서는 MZ세대의 대표팬덤인 아미와 기성세대의 대표팬덤인 영웅시대 모두 온라인과 오프라인 활동을 동시에 하고 있었으며 두 세대 모두 나타나는 팬덤의 공통점이었다. 그러나 MZ세대의 경우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오프라인 활동으로 연결되는 반면 기성세대의 경우 지역이 중심이 된 온오프라인이라는 점과 규칙적인 오프라인 활동을 통해 공동체적 연대와 감정의 위로에 집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사회참여 부문에서는 MZ세대 팬덤은 국내와 해외 모두 기부와 활동이 활발한 반면 기성세대 팬덤은 지역방을 중심으로 한 국내 지역사회에 보다 많은 기부와 활동을 하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활동방식 부문에서는 MZ세대 팬덤이 시의성을 바탕으로 전략적이고 집약적인 방식을 선택하는 반면 기성세대 팬덤의 경우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활동을 한다는 특징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MZ세대 팬덤의 행동양상은 집단지성에 따른 쌍방향 소통을 중시하는 반면 기성세대 팬덤의 경우 사회적 영향력을 활용한 팬덤활동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기존의 팬덤 연구가 주로 MZ세대 중심의 디지털 팬덤 문화에 집중되어 왔다면,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기성세대 팬덤의 지속성과 각 세대간 특성에 주목함으로써 팬덤 담론의 세대적 스펙트럼을 확장한 데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fandom within the popular music industry and explores the cultural and industrial implications of each generation’s fandom activities. The research focuses on two fandoms: “ARMY,” representing the MZ generation and fans of BTS, and “Youngwoong Era,” representing the older generation and fans of Lim Young-woong-both artists having been named Artist of the Year by Gallup for two consecutive years. A qualitative approach was employ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30 members from each fando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ommunication style, ARMY-representing enthusiastic fans of the MZ generation-primarily interact in virtual spaces and value self-expression. In contrast, Youngwoong Era engages both online and offline, with a focus on community-based regional groups in the real world, emphasizing emotional healing and solidarity.
Second, regarding social participation, the MZ generation’s fandom is actively involved in global donations and campaigns based on shared identity, while the older generation tends to contribute more locally through region-based initiatives.
Third, in terms of activity methods, the MZ fandom tends to adopt strategic and time-sensitive approaches, whereas the older generation exhibits steady and long-term engagement driven by perseverance.
Lastly, a notable feature of the MZ fandom is its emphasis on interactive communication shaped by collective intelligence, whereas the older generation utilizes their social influence in carrying out fandom activities.
While previous fandom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the digital culture of the MZ generation, this study expands the generational spectrum of fandom discourse by highlighting the overlooked continuity and distinct traits of fandoms in older generations.
목차
1. 서론
2. BTS의 아미와 임영웅의 영웅시대
3. MZ세대 팬덤의 특징과 활동양상
4. 기성세대 팬덤의 특징과 활동양상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 아이돌 팬송 가사에 나타난 아이돌 그룹과 팬덤의 관계 형성 방식 연구
- Labeling the Uncarved Sound : Derridean, Wittgensteinian, and Zhuangzi’s Perspectives on “Korean Music”
- 음악 장르 선호와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관계 연구 - 성별, 세대, 학력, 정치적 성향을 중심으로
- 장르화되는 시간, 박물화되는 소리 : 음악-문화 기호로서의 ‘7080’
- 로파이(Lo-Fi) 음악의 미학적 특성과 경향 - 불완전성의 미학과 디지털 시대의 음악적 수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