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방안 연구
이용수 862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thod of Music Teaching․Learning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Based on Carnival Pedagogy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민(Lee, Kyung-mi) 손민정(Son, Min-ju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7권 제2호, 81~10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계시민교육이 교육 분야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면서 예술교육이 창의·감성적 측면을 넘어 시민성 함양의 대안적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억압, 갈등, 비판적 의식, 해소, 변화, 실천 등의 논의를 다루고 있는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교수·학습이론을 도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세계시민교육의 내용과 카니발 페다고지의 주된 특징을
비교하여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점들을 3단계로 구분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실제 음악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학습 단계, 교수·학습 설계 절차,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체화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A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comes a new topic in education, art education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method of developing citizenship beyond creative and emotional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of music teaching․learning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this end, I would like to introduce Carnival Pedagogy, a teaching․learning theory. Carnival Pedagogy is similar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pursuing in the point of dealing with discussions such as oppression, conflict, critical consciousness, resolution, change, and practice centered on culture and art activities. As a research method, the contents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e compared with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arnival Pedagogy, and the common points are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pplied to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revised in 2015 to specify the learning stage, teaching․learning design process, and teaching․learning scenario that can be used in actual music class.
목차
Ⅰ.서론
Ⅱ.이론적 배경
Ⅲ.음악 교수․학습 방안
Ⅳ.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서양음악사 서술 방식 및 내용 구성 고찰
- 하브루타 음악 수업 시 학생의 질문 유형 특성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
- 학습의 매개로서의 음악점자의 활용을 위한 다양식성의 역할
- An Investigation of Field-based Experiences for Pre-service Music Teachers in Massachusetts: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Strategies Governing Field-based Experiences for Music Teacher Candid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 한․중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음악 비교 연구 -한국 미래엔 본과 중국 人民音樂出版社본을 중심으로-
-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의 효과
- 특수교육 초등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
- 중학교 음악수업을 위한 북한음악 선호도 분석
- 음악대학생들의 전공별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대안교육과 대안학교에서의 음악수업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