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브루타 음악 수업 시 학생의 질문 유형 특성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
이용수 431
- 영문명
- The Analysis of Students’ Questions in Music class applying Havruta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조해리(Jo, Hae-Re) 백재연(Paik, Jae-Yeo)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7권 제2호, 189~20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하브루타 학습법을 음악 수업에 적용하고,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의 질문 유형 및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본 연구는 서울 G초등학교 3학년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M출판사 교과서에 제시된 4개의 제재를 각 2차시씩 설계하여 총 8차시를 ‘하브루타’방식으로 수업하였다. 그리고 수업에서 나온 학생들의 질문 유형을 양종모(2008, 2009)의 음악과에서의 질문 분석 기준에 맞추어 초등 음악교사 2인과 음악교육전문가 1인이 분석하고 학생의 질문 양상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질문 유형은 주로 인지적 영역의 질문이었다. 그리고 인지+심동적 질문, 인지+정의적 질문, 인지+심동+정의적 질문 등 통합 영역 질문이 있었다. 또한, 하브루타 음악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학생 중심의 음악 수업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pply Havruta learning method to music classes and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questions. This study carried out a total of 8 lessons in a“Havruta” style, divided into 4 respective sessions of 2 lessons each. The four topics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 of M Publisher, teaching 25 students of the 3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criteria for analyzing teacher’s questioning in music education(Yang, Jong-mo, 2008, 2009), the types of students’ questions produced during the music class were classified. The main questions asked by students were from the cognitive domain. There were integrated questions from the cognitive+psychomotor domain, cognitive+affective domain, and cognitive+psychomotor+affective domain,
as well. Also,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music class applying Havruta learning is that the student-centered music class was achieved matching to the curriculum of 2009(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목차
Ⅰ.서론
Ⅱ.연구의 기초
Ⅲ.수업의 설계 및 적용
Ⅳ.학생의 질문 양상
Ⅴ.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서양음악사 서술 방식 및 내용 구성 고찰
- 하브루타 음악 수업 시 학생의 질문 유형 특성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
- 학습의 매개로서의 음악점자의 활용을 위한 다양식성의 역할
- An Investigation of Field-based Experiences for Pre-service Music Teachers in Massachusetts: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Strategies Governing Field-based Experiences for Music Teacher Candid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 한․중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음악 비교 연구 -한국 미래엔 본과 중국 人民音樂出版社본을 중심으로-
-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의 효과
- 특수교육 초등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
- 중학교 음악수업을 위한 북한음악 선호도 분석
- 음악대학생들의 전공별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대안교육과 대안학교에서의 음악수업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