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 초등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
이용수 411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nge of Basic Music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in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원초롱(Won,Cho Ro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7권 제2호, 57~7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 초등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을 통해 특수교육에서 음악교육의 변화를 고찰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 교육과정에서 기본 교육과정이 등장한 제7차 초등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부터 현행 교육과정까지를 대상으로 음악과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및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는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러 예술 영역과의 소통 및 교육 내용의 통합을 통해 융통성 있고 탄력적인 운영을 꾀하고 있으며, 특수교육에서 음악교육의 역할 및 중요성을 명시하며, 핵심역량을 도입하여 음악 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필수적인 능력을 제시하였다. 또한, 단계별 내용 제시나 학년군의 도입을 통해 학생의 특성 및 발달단계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도록 하였고, 생활화 영역의 도입으로 음악을 생활 속에서 즐기며 활용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nges of music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way for future by analyz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Research method was mainly literature research and the researcher examined through the seventh basic music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to 2015 revised basic music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organization and operation, format and contents of curriculum. As a result, first, it is trying flexible oper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various artistic areas and integration of education contents. Second, it emphasizes the role and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Third, it introduced ‘core competencies’ and suggested the necessary skills to develop through music education. Fourth, the curriculum was organized and operat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stage of the students through step-by-step content or the introduction of the ‘grade cluster’.Fifth, it emphasized the enjoyment and utilization of music in daily lif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music in everyday life’ domain.
목차
Ⅰ.서론
Ⅱ.이론적 배경
Ⅲ.연구 방법
Ⅳ.초등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의 분석 결과
Ⅴ.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서양음악사 서술 방식 및 내용 구성 고찰
- 하브루타 음악 수업 시 학생의 질문 유형 특성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
- 학습의 매개로서의 음악점자의 활용을 위한 다양식성의 역할
- An Investigation of Field-based Experiences for Pre-service Music Teachers in Massachusetts: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Strategies Governing Field-based Experiences for Music Teacher Candid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 한․중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음악 비교 연구 -한국 미래엔 본과 중국 人民音樂出版社본을 중심으로-
-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의 효과
- 특수교육 초등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
- 중학교 음악수업을 위한 북한음악 선호도 분석
- 음악대학생들의 전공별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기반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대안교육과 대안학교에서의 음악수업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