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과 입원환자의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와 우울성향과의 상관관계 분석
이용수 16
- 영문명
- A Correlative Analysis Between Psychosocial Stress and Depressive Trend in Psychiatric In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이영렬 기백석 이길홍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29권 제5호, 1125~113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0.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uthor intended to establish cor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stress and a depressive
trend in psychiatric inpatients. 428 subjects were selected by the 3-stage-clustered-stratified-
probability-proportional-extraction method from 18 psychiatric hospitals nationwide, and
were investigated by psychiatric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psychosocial stress was evaluated by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which had
developed by Holmes & Rahe(1967) and translated by Lee, Peong Suk(1984). The depressive
trends were measured by the self-rating depression scale designed by Zung and Durham(196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program.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were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was as follows
1) Psychosocial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depressive trend of the psychiatric
inpatients. Among the psychosocial stresses, health stress, family stress and economy str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depressieve trend, while social stress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a depressive trend.
2) The total scores of life chang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rvasive affect and
rhythmic disturbances, also among depressive symptoms the total scores of life chang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rying spell and insomnia.
3) The pervasive affect has higher scores in health, job and family stress groups, rythmic
disturbances have higher scores in economy, health, job family and marital stress groups,
other physiologocal disturbances have higher scores in job, economy and health stress groups,
psychomotor activity has higher scores in health, job and family stress groups and ideational
depression has higher scores in family, marital, health and economy stress groups.
4) Among the depressive symptoms, easy fatigability, dysphoric mood, hopelessness, emptiness,
insomnia, weight loss, tachycardia,diurnal variation and retard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ated with psychosocial stress groups.
5) The easy fatigability is more frequent symptom in job, economy, health and family stress
groups, dysphoric mood in health and job stress groups, hoplessness in marital, family and
health stress groups, emptiness in economy, marital, family and health stress groups, insomnia
in job, economy, family, health and marital stress groups, weight loss in job and health stress
groups, tachicardia in job, economy, and health stress groups, diurnal variation in job, family,
health and martial stress groups and psychomotor in job, family, health and marital stress
groups.
목차
서 론
조사대상 및 조사방법
조 사 결 과
고 안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단측대뇌손상에 의한 인지와 정서장애
- 정신과 입원환자의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와 불안성향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정신과 자문에 대한 타과 의사들의 인식과 태도
- Alexithymia와 신체화에 관한 연구
- 환각 증상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 우울증과 세포 면역 기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전두엽 및 측두엽 손상환자의 인지와 정서장애
-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동반된 정신증 환자에서 Thyroxine 투여로 유발된 조증 1례
- Dothiepin의 항우울 효과에 대한 임상연구
-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4 예
- Alzheimer병 에 서 혈 중 Superoxide Dismutase-1 의 활성
- 양성 정신분열증과 음성 정신분열증
- 정신장애환자의 혈청 면역글로부린의 변동
- 정신과 입원환자의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와 우울성향과의 상관관계 분석
- 노인정신과 환자에 있어 인지기능검사 (MMSE와 BCRS) 와 뇌파소견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입원중 정신과에 자문 의뢰된 노인 환자에 대한 고찰
- 정신과에 자문의뢰된 당뇨병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 항정신병약 투여에 따른 GABA 수용체의 변화
- 정신분열장애에서 전기충격요법후 혈청 Prolactin과 Growth Hormone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