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suasive Effects of TikTok City Promotional Short-form Videos: Focusing on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and Travel Involvement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양루(Yang Lu) 진현정(Hyun Joung Jin)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9권 제8호, 199~22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교화가능성모델(ELM)을 이론적 틀로 활용해, TikTok 기반 UGC(사용자 생성 콘텐츠, user-generated content) 도시홍보 숏폼영상이 시청자의 만족도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설득 효과를 중심경로와 주변경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은 콘텐츠 속성(정보성, 오락성, 몰입성, 정확성)과 동영상 제공자 특징(전문성, 신뢰성, 매력도)이 시청만족도를 어떻게 형성하며, 여행 관여도가 이러한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규명하고, 나아가 시청만족도가 도시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데 있다. 20-30대 중국 사용자 35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성, 오락성, 정확성은 중심경로를 통해 시청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몰입성은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보였다. 또한 제공자의 전문성과 신뢰성은 주변경로를 통해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매력도는 예상과 달리 부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여행 관여도는 중심⋅주변경로의 효과를 조절하여 고관여자는 콘텐츠 속성, 저관여자는 제공자 특징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ELM을 숏폼영상 맥락에 적용해 중심⋅주변경로의 복합적 작용과 관여도의 조절역할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이론적 확장을 시도했다는데 있다. 실무적으로는 여행 관여도 수준을 고려해 차별화된 콘텐츠 제작 전략을 수립하고, 매력적이지만 피상적인 요소의 과도한 사용을 경계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연구 한계로는 표본의 연령 편중, 자극물 유형의 제한, 문화적 맥락의 다양성 반영 부족이 있는바,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UGC 형태와 장기적인 도시 브랜드 효과를 포함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s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analyze how TikTok-based UGC short-form city promotional videos influence viewers’ satisfaction and visit intentions via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ontent attributes (informativeness, hedonic value, immersiveness, and accuracy) and provider characteristics (expertise, credibility, and attractiveness) shape viewing satisfaction, how travel involvement moderates these relationships, and how viewing satisfaction affects visit intention. The study collected survey data from 355 Chinese users in their 20s and 30s and tested hypothes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veness, hedonic value, and accuracy positively affected viewing satisfaction through the central route, while immersiveness surprisingly had a negative effect. Provider expertise and credibility had positive effects through the peripheral route, but attractiveness showed a negative influence, suggesting overly superficial appeal may reduce viewing satisfaction. Travel involvement moderated these effects: high-involvement users responded more to content attributes, while low-involvement users were more sensitive to provider characteristics. This study theoretically extends ELM to short-form video contexts by demonstrating the complex interplay of central and peripheral cues and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Practically, it suggests tailoring content strategies based on viewer involvement levels and avoiding excessive focus on superficial appeal. Limitations include sample age bias, limited stimulus types, and cultural scope, indicating a need for future research on diverse UGC formats and long-term impacts on city brand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태 여행자의 장소감 형성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관계인구의 관계 발전 단계와 관광산업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8호 목차
- 호텔 전공 대학생의 호텔 현장 실습 중 우연 학습 경험을 통한 진로 선택 과정에 관한 근거 이론 연구
- 템플스테이 미경험자의 가치 기반 태도, 방문의도 분석 - 이중처리접근을 통한 암묵적⋅명시적 가치 탐구
- 관광자원 및 공간적 특성에 따른 관광지 범죄 양상 분석 - 생활안전지도를 활용한 탐색적 접근
- 질적연구의 태도 확보를 위한 후설의 현상학적 성찰
- 친환경 메시지 수용에 대한 게임화 전략의 효과 분석 - 침입성 지각의 매개 효과와 기술 불안감의 조절 효과 탐색
- 기후변화에 따른 국가별 관광수요 영향 메타분석
- TikTok 도시홍보 숏폼영상의 설득 효과에 관한 연구 - 정교화가능성모델과 여행 관여도를 중심으로
- 로컬관광 목적지 경쟁력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공급자 관점을 중심으로
- 의료관광 서비스품질이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인 의료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가치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 관광자의 ESG인식이 행동의도 및 추가비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