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the local startup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process of local creators: An application of Yin’s multi-case study method
발행기관
한국관광학회
저자명
허욱(Wook Heo) 김현정(Hyun-Jung Kim) 김유림(Yu-Lim Kim) 김남조(Nam-Jo Kim)
간행물 정보
『관광학연구』제49권 제5호, 77~9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로컬 크리에이터가 로컬창업기회를 인식하는 과정을 고찰하기 위해, Ardichvili and Cardozo가 창업기회인식모델의 핵심 구성요소로 제시한 사전지식, 기업가적 민감성, 네트워킹을 중심으로 다중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은 속초의 칠성조선소, 춘천의 감자밭, 제주의 해녀의 부엌이다. 연구 결과, 로컬 크리에이터는 지역에 대한 정서적 애착을 바탕으로 형성된 사전지식, 지역자원 및 시장의 수요에 대한 민감한 반응, 그리고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 창업기회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지역자원에 담긴 문화적 의미와 문제의식을 창의적으로 해석하고, 공식적·비공식적 네트워크를 통해 이를 사업화하는 데 강점을 보였다. 또한 분석한 세 사례 모두에서 대도시에서 연고지 지역으로 회귀한 ‘U턴형 창업자’라는 공통된 경향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지역에 대한 애착과 이해를 바탕으로 지역자원을 창조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연구는 기술 기반 창업 중심의 기존 창업기회인식 논의를 넘어, 지역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로컬 크리에이터 기업가정신 모델을 제안하며, 지역관광과 창업정책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Using a multi-case study approach, this study investigates how local creators recognize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In doing so, this study utilizes the theoretical framework proposed by Ardichvili and Cardozo, which identifies prior knowledge, entrepreneurial alertness, and networking as the core components of opportunity recognition, and analyzes cases of Chilsung Shipyard (Sokcho), Gamja Batt (Chuncheon), and Haenyeo's Kitchen (Jeju). The findings reveal that local creators recognize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through a complex combination of emotionally grounded prior knowledge of the region, sensitivity to potential demands and resources, and interactions within diverse social networks. In particular, these creators demonstrate the ability to creatively reinterpret the cultural meanings and issues embedded in local resources, effectively transforming them into actual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by utilizing both formal and informal networks. Furthermore, a shared finding across the three cases is that the local creators were 'U-turn entrepreneurs'—individuals who returned from metropolitan areas to their hometowns— who can make innovative use of local assets by utilizing their emotional attachment to and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local area. This study extends the academic discourse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beyond technology-based entrepreneurship by proposing a localized and emotionally grounded entrepreneurial model driven by creativ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and policy-making for local startup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욱(Wook Heo),김현정(Hyun-Jung Kim),김유림(Yu-Lim Kim),김남조(Nam-Jo Kim). (2025).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관광학연구, 49 (5), 77-97

MLA

허욱(Wook Heo),김현정(Hyun-Jung Kim),김유림(Yu-Lim Kim),김남조(Nam-Jo Kim). "로컬 크리에이터의 로컬창업 기회인식 과정에 대한 고찰 - Yin의 다중사례연구법 적용." 관광학연구, 49.5(2025): 77-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