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광자원 및 공간적 특성에 따른 관광지 범죄 양상 분석 - 생활안전지도를 활용한 탐색적 접근

이용수  0

영문명
An exploratory analysis of tourism crime patterns based on tourism resourc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Using the ‘living safety map
발행기관
한국관광학회
저자명
신진옥(Jin Ok Shin)
간행물 정보
『관광학연구』제49권 제8호, 79~9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1.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로컬 중심의 관광 트렌드에 맞춰 로컬 관광객 안전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광지의 자원 유형(자연 자원형 vs. 문화자원형)과 공간적 특성(이용자 중심형 vs. 특화 자원 중심형)에 따라 관광범죄 발생 양상이 어떻게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탐색적으로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 167개 주요 관광지 자료를 기반으로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의 치안사고통계 등급을 활용하여 범죄 등급 및 범죄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자원형 관광지에서는 절도⋅폭력 등 우발적 범죄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한 반면, 자연자원형 관광지에서는 살인⋅방화 등 계획적 범죄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간적 특성별로는 이용자 중심형 관광지가 특화 자원 중심형 관광지보다 범죄 등급이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문화자원형이면서 이용자 중심형인 관광지에서 범죄 위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광자원과 공간적 특성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관광지 유형에 따라 범죄 발생 특성이 상이함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지 개발 및 정책 입안자에게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안전 전략 수립의 근거를 제공하며, 관광범죄 예방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영문 초록

This exploratory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nsuring tourist safety amid the growing shift toward local-centric tourism. It investigates how crime patterns in tourist destinations vary depending on resource type (natural vs. cultu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user-centered vs. specialized-resource-centered). Using crime statistics ratings from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s ‘Living Safety Map’ for 167 major tourist destinations across Korea, the analysis identified that cultural-resource-based sites experienced more spontaneous crimes such as theft and assault, whereas natural-resource-based sites showed a higher proportion of premeditated crimes including murder and arson. Furthermore, user-centered destinations exhibited higher overall crime risks than specialized-resource-centered ones, with the highest risk observed in destinations that were both cultural-resource-based and user-centered. Although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resource typ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crime patterns differ across destination types. This study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and destination managers by suggesting the need for tailored safety strategies and the creation of proactive crime prevention environ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진옥(Jin Ok Shin). (2025).관광자원 및 공간적 특성에 따른 관광지 범죄 양상 분석 - 생활안전지도를 활용한 탐색적 접근. 관광학연구, 49 (8), 79-99

MLA

신진옥(Jin Ok Shin). "관광자원 및 공간적 특성에 따른 관광지 범죄 양상 분석 - 생활안전지도를 활용한 탐색적 접근." 관광학연구, 49.8(2025): 79-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