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thical Dilemmas in AI- and Robot-Based Elderly Care: A Literature Review from the Perspective of Care Ethic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소윤(So-Yoon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5호, 235~25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에서 인공지능(AI)과 로봇을 활용한 노인 돌봄이제기하는 윤리적 쟁점을 돌봄윤리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의 고령 인구의 급격한증가로 돌봄 수요가 확대되었으나, 인력 부족과 재정적 제약으로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있다. 이에 따라 AI·로봇 기반 돌봄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기술 도입이 곧바로 돌봄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돌봄 효율성과 안전성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존엄성, 자기결정권, 프라이버시, 관계성, 형평성 등 돌봄의 핵심 가치가 위협받을수 있다. 본 연구는 문헌분석을 통해 네 가지 윤리적 딜레마를 도출하였다: ① 자기결정권과 효율성의 긴장, ② 안전 모니터링과 개인정보 보호의 충돌, ③ 인간관계와 기술 의존성의 갈등, ④ 첨단 기술 접근의 불평등. 분석 결과, AI·로봇 돌봄은 단순한 기술적 과제가 아니라 돌봄의 의미와 본질을 재구성하는 사회적 과정임이 확인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윤리적 설계의 제도화, 법·제도적 장치 강화, 사회적 합의와 협력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thical issues arising from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robots in elderly care in Korea’s super-aged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care ethics. Although the demand for elderly care has rapidly increased due to the sharp rise in the aging population, Korea faces significant limitations in manpower and financial resources to adequately respond. Consequently, AI- and robot-assisted care has emerged as a potential alternative; however, the introduction of such technologies does not automatically lead to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care. Despite advancements in efficiency and safety, fundamental values of care—such as human dignity, autonomy, privacy, relationality, and equity—may be at risk. Through literature analysis, four ethical dilemmas were identified: (1) tension between autonomy and efficiency, (2) conflict between safety monitoring and privacy protection, (3) struggles between human relationships and technological dependence, and (4) inequality in access to advanced technologies. The findings confirm that AIand robot-assisted care is not merely a technical matter but a social process that reshapes the meaning of care. Accordingly, the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izing ethical design, reinforcing legal and institutional safeguards, and building social consensus through multi-stakeholder coope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윤리적 딜레마 분석틀
Ⅳ. 윤리적 딜레마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5호 목차
- 일의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초심상담자의 직무만족: 경제적 제약, 일 자유의지, 괜찮은 일의 구조적 관계
- 드림스타트 아동의 기초학력 중재 프로그램 효과: 초등학교 1-3학년을 중심으로
- 지루함이 온라인 트롤링에 미치는 영향: 가학성과 공감의 조절효과
- AI 기반 심리상담 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 여중생의 또래 무리문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온라인 혐오 표현 목격자의 심각성 인식과 대응 방식의 관계에서 심리적 영향의 매개 효과
- 온라인 포토에세이를 통한 사회적 고립 청년의 내러티브 탐구
- 노년기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동향: 주제범위 분석
- 디지털 활용역량이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정서적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간의 관계: 감정표현불능증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부정적 양육태도와 가족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가족의사소통과 원자력지원인식의 직렬 이중매개효과 : 한수원의 사회공헌활동을 중심으로
- 현직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 AA에 참여하고 있는 알코올중독자의 단주자기효능감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 가족 및 AA모임의 정서적지지의 조절 효과
- 한국인 재난경험자 대상 온라인 PTSD 평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셋 구축 및 텍스트 기반 AI 모델 개발 연구
- AI/로봇 기반 노인 돌봄의 윤리적 딜레마 : 돌봄윤리 관점에서의 문헌연구
- 결혼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배우자 간 상호영향: 맞벌이 여부에 따른 다집단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 모형
- 시각장애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 성인학습자들의 대학 학습 경험 탐색
- 노인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사회적지지와 부부의 정서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중대재해로 동료와 사별한 근로자의 삶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전통적 남성성과 데이트 폭력의 관계: 긍정적 남성성의 조절 효과
- 초심 전문상담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대처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재난 경험자 특성에 따른 비대면 재난심리지원 서비스 기능 요구 분석: 성인 재난 경험자를 중심으로
- 기혼 직장인 남성의 일-가정 갈등이 번아웃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이중매개 효과
- 집단미술치료가 또래상담병의 공감능력, 공동체 의식 및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중년여성의 가족기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상담관계 변화 기제로서의 관계 마음챙김: 이론적 고찰과 상담자 교육 함의
- 외상후 인지와 외상후 성장과의 관계: 침투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및 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재난회복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5호 목차
- 일의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초심상담자의 직무만족: 경제적 제약, 일 자유의지, 괜찮은 일의 구조적 관계
- 드림스타트 아동의 기초학력 중재 프로그램 효과: 초등학교 1-3학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