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I 기반 심리상담 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Domestic Trends in AI-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Research: A Scoping Literature Review
발행기관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저자명
여수진(Su-Jin YEO) 손승희(Seung-Hee SOHN)
간행물 정보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5호, 11~2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인공지능(AI) 기반 심리상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방법을 적용하였다. AI기반 심리상담 관련 문헌 총 58편을 분석하였으며, 발행연도, 학문 분야,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목적, 중재목표, 중재도구, 상담적용영역 등으로 구성하고 연구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은 영역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AI 기반 심리상담 분야는 2012년 이후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며, 주로 사회과학과 공학 분야를 중심으로 챗봇을 활용한 심리·정서 중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다만, 대부분의 연구가 기술 개발과 성능 평가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대상군을 아우르는 실증 연구 확대, 상담이론 기반 알고리즘 개발, 임상 성과 검증, 윤리 기준 정립과 제도적지원 강화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국내 AI 기반 심리상담 연구현황을 체계적으로 진단함으로써 향후 발전 방향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coping review examined 58 studies on AI-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published in Korea since 2012. Research in this field has recently increased but mostly focuses on technical aspects rather than clinical effectiveness or application. The review also identified several areas that have been insufficiently addressed in existing research. There is a clear need for more empirical studies on diverse populations, integration of counseling theory into algorithms, and development of ethical and legal guidelin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broader, evidence-based approaches and policy support for the advancement of AI-based counseling in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여수진(Su-Jin YEO),손승희(Seung-Hee SOHN). (2025).AI 기반 심리상담 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상담심리교육복지, 12 (5), 11-27

MLA

여수진(Su-Jin YEO),손승희(Seung-Hee SOHN). "AI 기반 심리상담 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상담심리교육복지, 12.5(2025): 1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