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라인 혐오 표현 목격자의 심각성 인식과 대응 방식의 관계에서 심리적 영향의 매개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everity and coping responses of bystanders to online hate speech
발행기관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저자명
정은지(Eun-Ji JUNG)
간행물 정보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5호, 51~6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혐오 표현 목격자의 심각성 인식과 대응 방식의 관계에서 심리적 영향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만15세 이상 남녀 중 최근 1년 동안 온라인에서 혐오 표현을 접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744 명의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온라인 혐오 표현 목격자의 심각성 인식과 대응 방식, 심리적 영향의 관계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혐오 표현 목격자의 심각성 인식과 대응 방식의 관계에서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않았고, 심리적 영향을 통한 완전 매개 효과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목격자가 혐오표현을 심각하게 인식하더라도 반대 행동으로 바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로 인한 심리적 고통이나 불편감을 먼저 경험하고 이 정서적 반응을 통해서야 비로소 대응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impact in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severity and coping responses of bystanders to online hate speech. To this end, survey data from 744 men and women aged 15 and older residing in South Korea who reported having been exposed to online hate speech during the past year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perceived severity, coping responses, and psychological impact of online hate speech bystanders. Second, the direct effect between perceived severity and coping responses of bystanders was not significant, while only the full mediating effect through psychological impact was significant. This means that when bystanders perceive hate speech, they first experience psychological discomfort, which then leads them to engage in coping behavio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지(Eun-Ji JUNG). (2025).온라인 혐오 표현 목격자의 심각성 인식과 대응 방식의 관계에서 심리적 영향의 매개 효과. 상담심리교육복지, 12 (5), 51-69

MLA

정은지(Eun-Ji JUNG). "온라인 혐오 표현 목격자의 심각성 인식과 대응 방식의 관계에서 심리적 영향의 매개 효과." 상담심리교육복지, 12.5(2025): 5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