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iddle School Girls’ Experiences in Peer Group Culture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윤숙(Youn-Sook KIM) 김현진(Hyun-Jin KIM)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5호, 117~13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중생의 또래 무리문화 속 정서 경험과 정서적 자기이해 변화를 탐색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자는 중학교 2학년 여학생 3명을 심층면담하고, Colaizzi 절차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또래 적응의 긴장', '관계 유지 전략', '소속과 배제의 갈등', '자기 성찰과 성장'의 네 범주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소속 불안으로 감정을 억제했으나, 점차타인 감정에 민감해지고 정서 패턴을 자각하며 감정조절 능력을 향상시켰다. 이는 감정명료화–자기 통찰–정서 조절로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이었다. 본 연구는 정서중심이론과 정서기반코칭 관점에서 또래 감정 경험이 청소년의 자기이해와 관계 형성에 미치는영향을 규명하였으며, 정서교육과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phenomenological study explored emotions and emotional self-understanding changes in middle school girls' peer group culture. Three second-year girls were interviewed and data analyzed using Colaizzi's method. Four categories emerged: tension in peer adaptation, relationship maintenance strategies, conflict between belonging and exclusion, and self-reflection and growth. Participants suppressed emotions amid belonging anxiety but gradually became sensitive to others' feelings, aware of emotional patterns, and improved emotion regulation. This was forming identity through emotion clarification, self-insight, and regulation. Grounded in Emotion-Focused Theory and emotion-based coaching, this study illuminates how peer experiences impact adolescents' self-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s, providing data for emotional education and counsel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5호 목차
- 일의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초심상담자의 직무만족: 경제적 제약, 일 자유의지, 괜찮은 일의 구조적 관계
- 드림스타트 아동의 기초학력 중재 프로그램 효과: 초등학교 1-3학년을 중심으로
- 지루함이 온라인 트롤링에 미치는 영향: 가학성과 공감의 조절효과
- AI 기반 심리상담 연구의 국내 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 여중생의 또래 무리문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온라인 혐오 표현 목격자의 심각성 인식과 대응 방식의 관계에서 심리적 영향의 매개 효과
- 온라인 포토에세이를 통한 사회적 고립 청년의 내러티브 탐구
- 노년기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동향: 주제범위 분석
- 디지털 활용역량이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정서적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간의 관계: 감정표현불능증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부정적 양육태도와 가족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가족의사소통과 원자력지원인식의 직렬 이중매개효과 : 한수원의 사회공헌활동을 중심으로
- 현직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 AA에 참여하고 있는 알코올중독자의 단주자기효능감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 가족 및 AA모임의 정서적지지의 조절 효과
- 한국인 재난경험자 대상 온라인 PTSD 평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셋 구축 및 텍스트 기반 AI 모델 개발 연구
- AI/로봇 기반 노인 돌봄의 윤리적 딜레마 : 돌봄윤리 관점에서의 문헌연구
- 결혼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배우자 간 상호영향: 맞벌이 여부에 따른 다집단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 모형
- 시각장애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 성인학습자들의 대학 학습 경험 탐색
- 노인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사회적지지와 부부의 정서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중대재해로 동료와 사별한 근로자의 삶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전통적 남성성과 데이트 폭력의 관계: 긍정적 남성성의 조절 효과
- 초심 전문상담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대처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재난 경험자 특성에 따른 비대면 재난심리지원 서비스 기능 요구 분석: 성인 재난 경험자를 중심으로
- 기혼 직장인 남성의 일-가정 갈등이 번아웃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이중매개 효과
- 집단미술치료가 또래상담병의 공감능력, 공동체 의식 및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중년여성의 가족기능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상담관계 변화 기제로서의 관계 마음챙김: 이론적 고찰과 상담자 교육 함의
- 외상후 인지와 외상후 성장과의 관계: 침투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및 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재난회복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5호 목차
- 일의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초심상담자의 직무만족: 경제적 제약, 일 자유의지, 괜찮은 일의 구조적 관계
- 드림스타트 아동의 기초학력 중재 프로그램 효과: 초등학교 1-3학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