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통적 남성성과 데이트 폭력의 관계: 긍정적 남성성의 조절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Masculinity and Dating Violence: The Moderating Role of Positive Masculinity
발행기관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저자명
우성범(Sung-Bum WOO)
간행물 정보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5호, 353~37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전통적 남성성 규범이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긍정적 남성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전국 성인 남성 400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통적 남성성의 하위요인들은 데이트 폭력에 차별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위험 감수, 폭력성, 여성에 대한 우위는 데이트 폭력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위험 요인으로 확인된 반면, 승리 지향, 정서 억제, 지위 추구는오히려 데이트 폭력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남성성의 조절효과분석에서 긍정적 남성성은 ‘승리 지향’과 ‘지위 추구’의 보호 효과를 활성화하는 것으로나타나 이 두 요인은 긍정적 남성성 수준이 높을 때에만 데이트 폭력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긍정적 남성성은 ‘여성에 대한 우위’의 위험 효과를 완충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 남성성이 일부 전통적 규범의 긍정적 잠재력을발현시키고, 다른 규범의 부정적 위험성은 약화시키는 복합적인 심리적 자원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남성 대상 폭력 예방 개입에서 긍정적 남성성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근거를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positive masculi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masculine norms and dating violence among adult men in South Korea. Participants completed the Conformity to Masculine Norms Inventory (CMNI), the Positive Masculinity Scale (PMS), and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 (CTS2). Correlation and moderation analyses indicated that several subfactors of traditional masculinity, including risk-taking, violence, and power over wome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ating violence, whereas factors such as emotional control and winning orientation showed negative associations in certain contexts. Importantly, positive masculinity moderated the effects of victory orientation, status-seeking, and power over women on dating violence, such that higher levels of positive masculinity attenuated the risk of violence associated with these traditional nor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sitive masculinity functions as a protective factor by reframing potentially harmful masculine norms into relational responsibi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mutual respect.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positive masculinity into intervention and prevention programs aimed at reducing gender-based violence in the Korean cultural context, where patriarchal structures remain deeply embed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성범(Sung-Bum WOO). (2025).전통적 남성성과 데이트 폭력의 관계: 긍정적 남성성의 조절 효과. 상담심리교육복지, 12 (5), 353-370

MLA

우성범(Sung-Bum WOO). "전통적 남성성과 데이트 폭력의 관계: 긍정적 남성성의 조절 효과." 상담심리교육복지, 12.5(2025): 353-3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