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전환기 강우 지식인의 남명 강학 공간 강회와 그 문화사적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Gang-u Intellectuals’ Scholarly Gatherings at Nammyeong’s Learning Spaces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and Their Cultural-Historical Significance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주강수(Kang-soo Joo)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第72輯, 323~369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근대 전환기 강우 지역 지식인들이 남명 강학 공간(산해정·뇌룡정·산천재)에서 유생 교육을 위해 개최한 강회를 대상으로 그 전개 양상과 특징을 분석하고, 문화사적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근대 전환기의 강우 지역 지식인들은 南冥 曺植을 유림의 사표로 존숭하며, 그의 강학 공간을 도학이 구현되는 장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이곳에서 강회를 열어 유생들에게 남명의 학문을 가르치고 지역 학풍을 진작시켰다. 강회의 전개 양상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산해정에서 「대학팔조가」 를 낭송하고 산천재의 「사성현도」 에 참배하는 등 남명의 행적을 모방하여 남명학 계승 의식을 내면화하고자 하였다. 둘째, 節目을 제정해 강회 규정을 엄격히 하고, 재정 운영의 투명성을 강조하여 인재 양성을 위한 강회의 지속을 도모하였다. 셋째, 외세 침략과 유학 붕괴의 위기 속에서 열린 강회는 절의 정신을 바탕으로 讀書種子를 양성하고, 유학 수호 의식을 표출하는 장이 되었다. 이처럼 남명 강학 공간에서 거행된 강회는 남명학 계승 의지를 드러내고 강우 지역 학문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토대가 되었다. 또한 시대적 위기 속에서도 인재를 길러 유학을 수호하려는 의식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강우 지역 지식인들은 남명 정신의 계승을 더욱 굳건히 하였으며, 이 지역 고유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었다. 그 성과는 오늘날까지 이어져 ‘남명학’이라는 꽃을 피우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cultural-historical significance of collective Learning held by scholars of the Gang’u region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ity. These gatherings took place in Nammyeong Jo Sik’s (Nammyeong) lecture spaces—Sanhaejeong, Noeryongjeong, and Sancheonjae—and served as venues for educating local Confucian students. During this period, the intellectuals of the Gang’u region revered Nammyeong Jo Sik as the moral exemplar of the Confucian community and regarded his lecture spaces as places where Confucian learning was realized in practice. They organized collective Learning in these spaces to transmit Nammyeong’s teachings and to revitalize the scholarly tradition of the region. The development of these collective Learning can be summarized in three aspects. First, by reciting “Daehakpaljoga” at Sanhaejeong and performing rites of reverence before the “Saseonghyondo” at Sancheonjae, they sought to internalize the spirit of Nammyeong and the consciousness of succession to his learning. Second, by establishing detailed regulations (jeolmok) and ensuring transparent financial management, they aimed to sustain these gatherings as institutions for cultivating moral and intellectual talent. Third, amid the national crisis of foreign invasion and the decline of Confucianism, these collective Learning became arenas for expressing loyalty to Confucian principles and nurturing future scholars grounded in moral integrity. Through such practices, the collective Learning held in Nammyeong’s lecture spaces revealed the strong will to inherit Nammyeong’s thought and laid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intellectual identity of the Gang’u region. Even amid historical upheaval, the region’s scholars continued to cultivate students and safeguard Confucian values, thereby reinforcing the legacy of Nammyeong’s spirit. This enduring tradition ultimately enabled the full flowering of “Nammyeong Studies” (Nammyeonghak) that continues to this day.

목차

1. 문제의 제기
2. 남명 강학 공간에 투영된 인식
3. 강회 활동의 전개 양상과 특징
4. 맺음말_문화사적 의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강수(Kang-soo Joo). (2025).근대 전환기 강우 지식인의 남명 강학 공간 강회와 그 문화사적 의미. 동양한문학연구, (), 323-369

MLA

주강수(Kang-soo Joo). "근대 전환기 강우 지식인의 남명 강학 공간 강회와 그 문화사적 의미." 동양한문학연구, (2025): 323-3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