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우 지역 간재학파의 계보와 활동

이용수  0

영문명
The Genealogy and Activities of the Ganjae(艮齋) School in the Gangwoo Region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박소희(So-hee Park)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第72輯, 253~28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강우 지역 간재 전우 학파의 계보와 활동을 조명한 것이다. 강우 지역은 남명학이 쇠퇴한 후 퇴계학과 기호학이 공존하며 다양한 학맥을 형성하였다. 기호학의 경우 호론과 낙론 계열의 분화 속에서 강우 문인들 역시 그 궤를 함께 하고 있었다. 그중 낙론계로 홍직필-임헌회를 이은 전우는 활발히 강학활동을 전개하며 수많은 문인을 양성하였다. 간재학파의 문인록인 『화도연원록』내 「관선록」, 「급문」에 수록된 강우 문인은 모두 134명이다. 간재학파가 활동할 무렵, 강우 지역 기호학파는 최익현, 송병선·송병순 형제, 정재규의 문인들이 있었고, 퇴계학파는 곽종석과 노상직의 문인이 공존하고 있었다. 이를 종합했을 때 기호학파는 총 791명으로 퇴계학파 1,032명보다 약세한 편이다. 기호학파 내 각 계열과 비교했을 때도, 최익현 문인이 236명, 송병선 문인 225명, 정재규 문인이 196명인 것과 비교하면 전우 문인들의 수치는 가장 낮은 편이다. 하지만 간재학파는 스승 사후 활발히 현양 사업을 추진했으며, 특히 『간재집』(진주본) 간행을 통해 강력한 결속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백운정사, 의산서원 등을 세워 향촌 곳곳에서 강학 활동을 전개하며 후학을 양성하였다. 이 외 기호학맥의 타 학파와 연대하며 만동묘 제향 문제나 인도공의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전통 유학의 가치를 지키려 노력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genealogy and activities of the Ganjae Jeon Woo school in the Gangwoo region. After the decline of the Namgyeong School, the Gangwoo region saw a coexistence of the Toegye and Giho schools, forming various academic lineages. Within the Giho School, the Gangwoo intellectuals followed the divergent paths of the Horon and Nangnon factions. Among them, Ganjae Jeon Woo, who succeeded the Nangnon lineage of Hong Jik-pil and Im Heon-hoe, actively engaged in teaching and produced a large number of disciples. According to the Gwanseollokand Geupmunsections of the Hwado Yeonwonrok, a record of the Ganjae School’s disciples, there were 134 disciples from the Gangwoo region. At the time the Ganjae School was active, the Giho School in the Gangwoo region also included disciples of Choi Ik-hyeon, the Song Byeong-seon and Song Byeong-sun brothers, and Jeong Jae-gyu. The Toegye School was represented by the disciples of Gwak Jong-seok and No Sang-jik. In total, the Giho School had 791 disciples, which was fewer than the Toegye School's 1,032. Compared to other factions within the Giho School, the number of Jeon Woo's disciples was the lowest, with Choi Ik-hyeon having 236, Song Byeong-seon 225, and Jeong Jae-gyu 196. Despite their smaller numbers, the Ganjae School actively promoted memorial projects after their master's death, demonstrating strong solidarity through the publication of the Ganjaejip(Jinju edition). They also established teaching centers like Baegunjeongsa and Uisanseowon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side to spread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educate younger generations. Furthermore,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preserving the values of traditional Confucianism by collaborating with other factions of the Giho lineage on issues such as the Mandongmyomemorial service and the activities of the Indogonguiso.

목차

1. 머리말
2. 강우 지역 기호학맥의 흐름
3. 강우 지역 간재학파의 계보
4. 강우 지역 간재학파의 활동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희(So-hee Park). (2025).강우 지역 간재학파의 계보와 활동. 동양한문학연구, (), 253-287

MLA

박소희(So-hee Park). "강우 지역 간재학파의 계보와 활동." 동양한문학연구, (2025): 253-2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