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後滄 金澤述의 지리산 유람과 시대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Hoochang Kim Taek-sul’s Journey to Mt. Jiri and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권난희(Nan-hui Gwon) 강정화(Jeong-hwa Kang)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第72輯, 163~19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後滄 金澤述(1884~1954)의 「頭流山遊錄」을 중심으로 해당 지리산 유람 과정에 있었던 다양한 모습 및 그 기록에 담긴 작가의 사상과 시대 인식을 탐구하는 작업이다. 근대 전환기 지리산 유람록을 남긴 호남 지역의 인물들은 대부분 하동 정도까지 왔다가 돌아가는 행보를 보였던 것에 비해 김택술은 천왕봉에 오르는 일정의 「두류산유록」을 남겼다. 김택술에게 지리산 유람은 스승인 艮齋 田愚에 대한 각별함이 담긴 여정이었고, 몇몇 유람 공간을 매개로 각 장소에 깃든 선현들의 삶을 통해 자기 현실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이었으며, 때로는 이미 상정된 예상 답안을 증험하는 장치로도 작용했다. 본문에서는 먼저 일제 강점기를 살았던 지식인 김택술의 유람에 대한 인식을 살핀 후, 지리산 유람을 추진하게 된 배경 및 그 動因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동일 유람 기간에 창작되었으나 「두류산유록」에 수록되지 않은 한시의 全貌를 파악하여 본 유람록에 몇 가지 의미를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작품에 기록된 작가의 감회와 사상을 연역하거나 다른 기록에서 직접 언급한 부분을 근거로 제시하여 「두류산유록」에 표출된 김택술의 인식을 정리함으로써 근대 전환기 지식인으로서의 면모를 도출하였다. 김택술은 천왕봉에 올라 그 이전까지 고조시킨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긴 호흡으로 서술하였는데 그 대목에 「두류산유록」의 작가 의식이 가장 강하게 표출되어 있다. 지리산을 유람하며 時變에 처했던 역사 속 현인들의 삶을 복기함으로써 현실에 대처할 방안을 공고히 하였고, 유람길 곳곳에서 불만스러운 세태를 직시하고는 현상 이면에 내포된 근본적 문제를 비판적 시각으로 서술함으로써 근대 전환기 지식인으로서의 냉철한 면모를 표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our Diary of Mt. Duryu (頭流山遊錄) by Hu-chang Kim Taek-sul (後滄 金澤述, 1884–1954), focusing on his journey to Mt. Jiri and the intellectual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embedded in the text. Unlike most contemporaneous travel accounts from the Honam region, which typically describe excursions only as far as Hadong, Kim’s record includes the ascent to Cheonwangbong Peak. For Kim, the journey was not merely a physical expedition but also a deeply personal undertaking shaped by his reverence for his teacher, Gan-jae Jeon Woo (艮齋 田愚). Through encounters with sites associated with past sages, the journey became a means of seeking responses to contemporary challenges, as well as a process of testing and reaffirming pre-existing convictions. The paper first considers Kim’s perception of travel as an intellectual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before addressing the background and motivations for his Mt. Jiri expedition. It further examines classical poems composed during the same period but omitted from the diary, situating them within the broader interpretive framework of the work. By analyzing the author’s reflections and drawing upon his related writings, the study elucidates Kim’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his stance as an intellectual of the modern transitional era. Kim’s extended reflections at Cheonwangbong reveal his authorial consciousness most vividly. Recalling the lives of sages who endured historical upheavals, he sought to fortify strategies for confronting present realities. At the same time, by directly addressing the unsatisfactory social conditions of his day and critically exposing the structural problems underlying them, Kim articulated the sober and discerning outlook of an intellectual navigating the challenges of modernity.

목차

1. 서론
2. 유람에 대한 인식과 지리산 유람의 動因
3. 지리산 유람에서 창작된 한시의 전모
4. 「頭流山遊錄」에 표출된 시대 인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난희(Nan-hui Gwon),강정화(Jeong-hwa Kang). (2025).後滄 金澤述의 지리산 유람과 시대 인식. 동양한문학연구, (), 163-199

MLA

권난희(Nan-hui Gwon),강정화(Jeong-hwa Kang). "後滄 金澤述의 지리산 유람과 시대 인식." 동양한문학연구, (2025): 163-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