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朝時期文學圖像體系與特徵研究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System and Features of Literary Images in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琴知雅(Jia Keum)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第72輯, 135~16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조선 시대 문학 도상의 계통과 특징을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계통성이 비교적 분명하고 많은 작품을 전하고 있는 행실도류, 시의도류, 고사도류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조선 시대 행실도의 경우, 국가 차원에서 편찬한 서적, 가문에서 선인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편찬한 화첩, 그리고 효자도 병풍과 효제문자도가 있다. 조선 시대 시의도의 경우, 중국 산천을 묘사한 도상의 영향 속에서 발전해온 것도 있고, 이를 창조적으로 재해석한 것도 있다. 또한, 일부 시의도는 조선 시대만의 독자적 양상을 보이는 것도 있다. 조선 시대 고사도의 경우, 중국 소설 속 인물을 그림으로 그린 것도 있고, 한국 소설 속 인물을 그림으로 그린 것도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문학 도상이 조선 시대 사회에서 어떠한 문학적 위상을 지니고 있고, 독자들에게 어떻게 수용되어 왔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ystem and features of literary images in the Joseon dynasty within their historical context, focusing on three categories with distinct features: Haengsildo (paintings of exemplary deeds), Siuido (poetry paintings), and Gosado (story paintings). Haengsildo in the Joseon dynasty includes books compiled by the government, painting albums created by families to honor their ancestors’ filial piety, filial piety-themed folding screens, and Hyojemunjado (character paintings of filial piety and fraternal duty). Siuido in the Joseon dynasty reflects the influence of Chinese poetry and painting traditions, while also showcasing the creative reinterpretations and distinct features unique to Joseon painters. Gosado includes paintings that depict characters from both Chinese and Korean novels. By exploring these categories, this study highlights the literary significance and reception of literary images in the Joseon Dynasty.

목차

1. 緒論
2. 行實圖的體系與特徵
3. 詩意圖的體系與特徵
4. 故事圖的體系與特徵
5. 結論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琴知雅(Jia Keum). (2025).朝鮮朝時期文學圖像體系與特徵研究. 동양한문학연구, (), 135-162

MLA

琴知雅(Jia Keum). "朝鮮朝時期文學圖像體系與特徵研究." 동양한문학연구, (2025): 135-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