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hrase-Cued Reading on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저자명
- 최수정(Su Jeong Choi) 고선희(Sun hee Ko)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논집』제30권 제3호, 15~4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경계선 지능을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의미단위 띄어읽기 중재를 적용하여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대상자는 읽기 유창성에 어려움을 보이는 초등학교 5학년 경계선 지능 아동 3명으로, 기초선–중재–유지의 단일집단 AB 설계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중재는 총 16회기에 걸쳐 개별 교수로 실시되었으며, 의미단위 띄어읽기 전략을 단계별로 지도하였다. 읽기 유창성은 1분 동안 정확하게 읽은 어절 수로 측정하였고, 읽기 이해는 사실적 이해와 추론적 이해 점수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세 아동 모두 중재 이후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 점수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유지 기간에도 중재 효과가 지속되었다. 특히 읽기 이해 점수에서는 사실적인 이해보다 추론적 이해 영역에서 점수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결론: 의미단위 띄어읽기 전략은 경계선 지능 아동의 문장 구조 파악과 의미 예측 능력을 강화하여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경계선 지능 아동을 위한 읽기 지도에 있어 의미단위 끊어읽기 전략이 유용한 중재 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hrase-cued reading intervention on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three fifth-grade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ho demonstrated difficulties in reading fluency. A single-group AB design consisting of baseline–intervention–maintenance phases was employed. The intervention, delivered individually over 16 sessions, taught the phrase-cued reading strategy step-by-step. Reading fluency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words read correctly per minute, and reading comprehension was assessed through scores on factual and inferential questions. Results: All three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 in both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effects were maintained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In particular, the improvement in reading comprehension was more prominent in the inferential comprehension than in literal comprehension. Conclusion: The phrase-cued reading strateg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sentence structure awareness and meaning prediction abilities i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thereby improving their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hrase-cued reading is a useful and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y for supporting reading development in this popul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논집 제30권 제3호 목차
- 기능기반의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자기자극 행동과 과제 수행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초등 고학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질문 유형에 따른 텍스트 추론과 이해
- 의미단위 띄어읽기 중재가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읽기 유창성 및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 의미유형에 따른 경계선지능 아동의 다의어 처리 특성
- 지적장애 성인 대상 구강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국외 연구 동향 고찰
-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 개선을 위한 시·도 교육청 담당자의 인식 분석
- 일반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체육수업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기관 종사자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민주시민교육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 말더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가출 청소년에게 ‘집’이란 어떤 곳인가?: 중학생 때 가출한 후기 청소년의 ‘집’의 장소성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