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Question Types Influencing Textual Inference and Comprehension in Upper Elementary High-Function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저자명
- 손지원(Ji won Son) 최소영(So young Choi) 김가림(Ga rim Kim)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논집』제30권 제3호, 129~14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 고학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집단(이하 HFA 아동)과 일반아동 집단(이하 CA 아동)의 이야기 글 이해에서 질문 유형(사실적 정보 이해, 텍스트 연결 추론, 빠진 정보 추론)에 따른 수행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9세에서 12세 사이의 초등 4~6학년 아동 25명으로 HFA 아동 12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CA 아동 13명으로 구성되었다. 아동들은 이야기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였으며, 집단과 질문 유형에 따른 수행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HFA 아동은 CA 아동보다 추론 기반 이야기 이해 과제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다. 조건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CA 아동은 사실적 정보 이해와 텍스트 연결 추론에서 유사한 수행을 보이고 빠진 정보 추론에서만 상대적 어려움을 보였다. 반면 HFA 아동은 사실적 정보 이해, 텍스트 연결 추론, 빠진 정보 추론 순으로 더 큰 어려움을 보였다. 결론: HFA 아동은 CA 아동보다 추론을 통한 텍스트 이해에 어려움을 가지며, 이야기 내 정보와 언어적 단서의 투명성이 낮을수록 수행의 어려움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FA 아동의 틀린 추론, 그 원인 및 중재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story comprehension betwee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HFA)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A) according to question types: literal information understanding, text-connecting inferences, and gap-filling inferences. Method: Participants were 25 children in grades 4–6 (12 HFA, 13 CA). After reading narrative texts, they answered comprehension questions. A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tested the effects of group and question type. Results: HFA children scored lower than CA peers on inference-based comprehension. Performance differed by question type: CA children performed well on factual and text-connecting questions but struggled with gap-filling inference, whereas HFA children showed a stepwise decline from factual to text-connecting to gap-filling questions. Conclusion: HFA children exhibited greater difficulty with inference-dependent comprehension, particularly as narrative cues became less explicit. Findings highlight patterns of erroneous inference, possible underlying mechanisms, an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논집 제30권 제3호 목차
- 기능기반의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자기자극 행동과 과제 수행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초등 고학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질문 유형에 따른 텍스트 추론과 이해
- 의미단위 띄어읽기 중재가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읽기 유창성 및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 의미유형에 따른 경계선지능 아동의 다의어 처리 특성
- 지적장애 성인 대상 구강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국외 연구 동향 고찰
-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 개선을 위한 시·도 교육청 담당자의 인식 분석
- 일반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체육수업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기관 종사자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에 관한 연구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민주시민교육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논집 제30권 제3호 목차
- 기능기반의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자기자극 행동과 과제 수행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초등 고학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질문 유형에 따른 텍스트 추론과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