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미유형에 따른 경계선지능 아동의 다의어 처리 특성

이용수  0

영문명
Processing of Polysemous Words i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Effects of Meaning Type
발행기관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저자명
김가은(Ga Eun Kim)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논집』제30권 제3호, 1~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4-6학년 경계선지능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동일한 형태의 다의어가 포함된 세 개의 문장 중 같은 의미로 쓰인 다의어가 포함된 문장 두 개를 선택하는 의미 매칭 과제를 통해 경계선지능 아동이 용언 중심 다의어의 중심의미와 주변의미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4–6학년 경계선지능 아동 10명과 학년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0명이 참여하였다. 실험 자극은 4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문항은 다의어의 중심의미와 주변의미를 포함한 세 문장으로 이루어졌다. 아동에게 동일한 의미로 쓰인 다의어가 포함된 두 문장을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중심의미 조건에서는 중심의미 문장 두 개를, 주변의미 조건에서는 주변의미 문장 두 개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경계선지능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의미 매칭 과제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특히 중심의미 조건보다 주변의미 조건에서 더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집단과 의미유형 간 상호작용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론: 경계선지능 아동은 문맥에 따라 다의어의 의미를 적절하게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심의미 조건보다 주변의미 조건에서 더 큰 어려움을 보여, 문맥 속에서 어휘의 다양한 의미를 유연하게 전환하고 해석하는 능력이 제한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을 대상으로 한 어휘 중재에서는 단순한 어휘 학습을 넘어서, 문맥을 활용하여 의미를 추론하고 이해하는 훈련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IF) in grades 4 to 6,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peers, process the core and peripheral meanings of polysemous predicates. To this end, an meaning-matching task was administered in which children were asked to select two sentences containing the same meaning of a polysemous word among three presented sentenc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0 children with BIF and 1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atched by grade level. The experimental stimuli consisted of 40 items, each composed of three sentences containing a polysemous word with either a core or peripheral meaning. In the core meaning condition, children were asked to select two sentences using the core meaning, while in the peripheral meaning condition, they selected two sentences using the peripheral meaning. Results: Children with BIF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in the meaning-matching task compared to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In particular, they demonstrated lower accuracy in the peripheral meaning condition than in the core meaning condition.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meaning type was also found.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hildren with BIF experience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the meanings of polysemous words according to context. Their challenges were especially pronounced in the peripheral meaning condition, suggesting limitations in their ability to flexibly shift and interpret word meanings based on context. Therefore, vocabulary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BIF should not be limited to increasing the quantity of vocabulary learned, but should also incorporate training that helps them use contextual cues to infer and shift word meaning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가은(Ga Eun Kim). (2025).의미유형에 따른 경계선지능 아동의 다의어 처리 특성. 특수교육논집, 30 (3), 1-14

MLA

김가은(Ga Eun Kim). "의미유형에 따른 경계선지능 아동의 다의어 처리 특성." 특수교육논집, 30.3(2025): 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