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Awareness of Early Symptoms of Myocardial Infarction in Korean Older Adult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Hyang Sook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8, 49~6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65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에 대한 인지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4년 지역사회 건강 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 관련 문항에 응답한 77,117명의 자료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분석은 복합표본 설계를 반영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연령, 성별, 거주 성인수, 교육 수준, 거주지역 유형(동·읍면), 주관적 건강 수준, 평생 음주 경험, 체중조절 경험, 고혈압 진단 여부,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이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거주지역 특성과 건강 관련 행태가 고령층의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인지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고령층의 건강 역량과 실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통합적이고 맞춤형 건강교육 및 응급질환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evel of awareness of early symptoms of myocardial infarction among elderly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an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awareness. To achieve this,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2024 Community Health Survey, including responses from 77,117 individuals who answered questions related to early symptoms of myocardial infarc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age, gender, number of adults in the household, education level, residential area type (urban/rural), subjective health status, lifetime alcohol use, weight control experience, hypertension diagnosis,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train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ymptom awareness. The findings indicate that residential area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are associated with early symptom recognition in the elderly, highlighting the need for integrated and customized health education and emergency disease recognition programs to enhance health capacity and practical skills in older adul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 1, 2학년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무전공 대학 신입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의식성숙도의 관계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하수처리시설에서 염분농도가 질소제거 효율에 미치는 영향: 구룡포 하수처리시설을 대상으로
- 청년의 절망감이 주식투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불안의 조절효과
- 경제위기 상황에서의 성별 고용격차: 코로나19 팬데믹을 중심으로
- 대도시의 소방본부장 임명제도가 예산 및 인력확보에 미치는 영향 비교분석 - 일본의 도쿄소방청을 중심으로
- 한국 고령층의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폐경 여성의 수면 시간과 건강 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와 불안의 매개효과: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 집배원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이원화물질 기반 화학테러의 위험성과 국내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의 미디어 중독과 학교 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 효과: 2022 한국아동패널 자료 분석
- 자치재정권 측면에서 바라본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위기: 새로운 재정위기 개념 정립 및 지표 제안을 중심으로
- 코로나19 전후 한국 성인의 미충족 의료서비스 경험률 변화추이 - 연령, 거주지역, 소득계층별 차이를 중심으로
- 조종훈련 환경에서 심리적 스트레스 관리와 훈련성취도의 관계 - EAP 기반의 위기 개입 효과 중심
- 정신과 간호사의 투약오류 경험 - Cloaizzi 방법에 따른 현상학적 연구
-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시스템 사고, 조직의사소통만족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항만 배후지역 주민의 정책적 지원 요구와 항만 수용성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자동차세 개편 방안
- 인천광역시 국가유산 정책의 시기별 변화 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정책 흐름 비교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