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전공 대학 신입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의식성숙도의 관계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4

영문명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Maturity in Undeclared Freshmen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Haesook Kim Junghyeon Kwon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8, 25~34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무전공으로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의식성숙도간의 관계에 사회적지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G대학교의 무전공 입학생(n=106)을 대상으로 2025년 3월 한달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상관분석, t-검증, ANOVA, 위계적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매개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을 선택하지 않은 채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지지, 진로의식성숙도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긍정심리자본은 진로의식성숙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사회적지지를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무전공 입학제도의 확산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진로 미결정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반영한 진로지원 방안 수립을 위한 실증적인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이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maturity among undeclared freshme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06 students at G University in March 2025,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ootstrapp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fluenced career maturi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social support, indicat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career support strategies tailored to undeclared students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both psychological resources and social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Haesook Kim,Junghyeon Kwon. (2025).무전공 대학 신입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의식성숙도의 관계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21 (8), 25-34

MLA

Haesook Kim,Junghyeon Kwon. "무전공 대학 신입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의식성숙도의 관계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21.8(2025): 25-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