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met Healthcare Needs During the COVID-19 Era - Disparities by Age, Residential Area, and Household Incom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Wonik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8, 139~15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사회적 재난이 미충족 의료서비스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18–2023년)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인구를 대상으로 병의원과 치과 서비스의 미충족 경험 비율 변화를 연도별로 비교하였다. 특히 연령, 거주지역, 가구소득에 따른 미충족 의료서비스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병의원 서비스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으나, 치과 서비스는 팬데믹 초기 미충족 비율이 급증한 후 점차 회복되는 추세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40~50대 중장년층의 미충족 치과 서비스 경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소득 계층별로는 중하 계층에서 변화폭이 가장 컸다. 거주지역별로는 농어촌 지역 거주자의 미충족 경험 비율이 지속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기 상황에서 중장년층, 저소득층 등을 포함한 특정 집단의 의료 접근성 제약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a social disaster, on unmet healthcare needs in South Korea.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8-2023), we analyzed changes in unmet healthcare experiences, focusing on both general clinics and dental services. Trends were examined by age, residential area, and household income. The results revealed a relatively stable pattern of unmet needs for general clinics, whereas unmet dental care needs increased sharply during the early pandemic and later declined. Notably, adults aged 40~64 experienced the highest unmet dental care needs, with the most significant increase observed in the lower-middle income group. Rural residents also consistently exhibited higher levels of unmet needs than urban resident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targeted health policies to reduce healthcare disparities during public health cri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 1, 2학년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무전공 대학 신입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의식성숙도의 관계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하수처리시설에서 염분농도가 질소제거 효율에 미치는 영향: 구룡포 하수처리시설을 대상으로
- 청년의 절망감이 주식투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불안의 조절효과
- 경제위기 상황에서의 성별 고용격차: 코로나19 팬데믹을 중심으로
- 대도시의 소방본부장 임명제도가 예산 및 인력확보에 미치는 영향 비교분석 - 일본의 도쿄소방청을 중심으로
- 한국 고령층의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폐경 여성의 수면 시간과 건강 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와 불안의 매개효과: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 집배원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이원화물질 기반 화학테러의 위험성과 국내 대응 전략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의 미디어 중독과 학교 적응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 효과: 2022 한국아동패널 자료 분석
- 자치재정권 측면에서 바라본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위기: 새로운 재정위기 개념 정립 및 지표 제안을 중심으로
- 코로나19 전후 한국 성인의 미충족 의료서비스 경험률 변화추이 - 연령, 거주지역, 소득계층별 차이를 중심으로
- 조종훈련 환경에서 심리적 스트레스 관리와 훈련성취도의 관계 - EAP 기반의 위기 개입 효과 중심
- 정신과 간호사의 투약오류 경험 - Cloaizzi 방법에 따른 현상학적 연구
-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시스템 사고, 조직의사소통만족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항만 배후지역 주민의 정책적 지원 요구와 항만 수용성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자동차세 개편 방안
- 인천광역시 국가유산 정책의 시기별 변화 분석 :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정책 흐름 비교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