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과 간호사의 투약오류 경험 - Cloaizzi 방법에 따른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12

영문명
Psychiatric Nurse' Lived Experiences of Medication Errors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Jae Eun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8, 213~22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과 간호사의 투약 오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5년 4월 15일부터 6월 1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전문 정신과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7단계 분석 절차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3개의 주요 주제와 6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간호사들은 투약 오류 이후 환자의 생명에 대한 위협감, 자책감, 불안 등 극심한 정서적 고통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업무 집중력 저하와 직무 스트레스로 이어져 간호 실무와 환자 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자의 회복과 동료의 지지는 간호사의 정서적 회복과 직무 지속의 동기가 되었으며, 오류 경험은 궁극적으로 전문성 강화와 임상적 성숙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과 간호사를 위한 예방적 교육,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 상담 서비스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동료 간 지지와 긍정적인 조직 문화 조성이 간호사의 심리적 안정과 직무 만족도 향상에 기여함을 보여준다. 또한, 조직 차원의 안전한 근무 환경 구축과 제도적 지원은 환자 안전과 정신과 치료의 질 향상에 필수적인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henomenological study investigates the lived experiences of psychiatric nurses who have encountered medication errors, utilizing Colaizzi' s seven-step method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Between April 15 and June 15, 2025,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nurses employed in specialized psychiatric hospitals. The analysis revealed three core themes and six subthemes that highlighting participants' emotional distress, professional self-doubt, and psychological burden following medication errors. Participants reported experiencing guilt, fear of patient harm, and disrupted therapeutic relationships. Nevertheless, they also described personal growth, improved therapeutic relationships, and enhanced clinical vigilance as positive outcome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structured educational interventions, comprehensive institutional support systems, and the establishment of a non-punitive safety culture to prevent errors and facilitate psychological recovery. The implementation of peer support networks and the promotion of open communication between clinical staff and administrators are critical for improving medication safety and maintaining professional well-being in psychiatric care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Jae Eun Choi. (2025).정신과 간호사의 투약오류 경험 - Cloaizzi 방법에 따른 현상학적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21 (8), 213-223

MLA

Jae Eun Choi. "정신과 간호사의 투약오류 경험 - Cloaizzi 방법에 따른 현상학적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21.8(2025): 213-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