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4학년 사회 및 과학과의 수학 개념 활용 시기나 내용이 수학과 교육과정과 불일치한 경우에 대한 학생 이해 사례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Case Analysis of Student Understanding When the Timing or Content of Math Concept Use in 4th Grade Social Studies and Science Does Not Align with the Math Curriculum
발행기관
대한수학교육학회
저자명
박지현(Ji Hyun Park) 성지현(Ji Hyun Sung)
간행물 정보
『학교수학』제27권 제3호, 529~54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사회 및 과학과에서 활용되는 수학 개념 중 수학과에서 다루어지는 시기나 내용과 불일치하는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실태를 파악하여 교수학적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사회, 과학 교과와 수학 교과 간 지도 시기 및 내용 불일치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확인하는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1학기와 2학기로 나누어 구성하였고, 문항별 답지 반응과 오답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 간 불일치가 나타난 개념 중 시기적 측면에서는 면, 공간시각화, 시간 소수 표현, 수의 범위 등, 내용적 측면에서는 큰 수 끊어 읽기, 들이 개념, 무게 단위(g/kg) 등과 같은 개념에 대해 학생들이 오개념이나 오류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수학과와 지도 시기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개념 중 그래프의 연속적인 변화 경향을 파악하는 것과 같은 개념은 학생들이 적절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udents’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used in social studies and science that do not align in timing or content with those taught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order to derive pedagogical implications. To this end, a test was conducted with 23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ssess their understanding of concepts that do not align in terms of timing and instructional content between social studies/science, and mathematics. The test tools were structur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and the responses and incorrect cases were analysed.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exhibited misconceptions or errors in several areas related to instructional timing—such as faces, spatial visualization, decimal representation of time, and range of numbers—as well as in areas related to instructional content, such as reading large numbers in digit groups, concept of volume, and units of weight(g/kg). On the other hand, some concepts — such as recognizing continuous trends in graphs — were found to be appropriately understood and utilized by students, despite not aligning with the timing or content designat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현(Ji Hyun Park),성지현(Ji Hyun Sung). (2025).초등학교 4학년 사회 및 과학과의 수학 개념 활용 시기나 내용이 수학과 교육과정과 불일치한 경우에 대한 학생 이해 사례 분석. 학교수학, 27 (3), 529-549

MLA

박지현(Ji Hyun Park),성지현(Ji Hyun Sung). "초등학교 4학년 사회 및 과학과의 수학 개념 활용 시기나 내용이 수학과 교육과정과 불일치한 경우에 대한 학생 이해 사례 분석." 학교수학, 27.3(2025): 529-5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