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Trends and News Article Analysis of Kombucha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저자명
- 최배영(Bae-young Choi)
- 간행물 정보
- 『차문화산업학』제69집, 201~23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국내의 콤부차 연구 동향과 언론기사를 분석함으로써 콤부차 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하에 54편의 연구 논문(학위논문 23편, 학회지 31편)과 1,699건의 언론기사를 자료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에서는 2003년 콤부차의 항산화 효능 연구를 시작으로 2020년까지 감귤이나 한방재를 첨가한 콤부차의 기능성 탐색 연구가 시행되었다. 2021년을 기점으로 식품영양학, 식품공학・식품과학 외에도 여러 학문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보다 다양한 재료가 이용되는 첨가물의 확장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콤부차의 중요한 토대인 차에 관한 연구성과 축적에는 활성화가 요구되었다. 2. 언론매체에 반영된 기사의 소재 고찰로 콤부차 산업의 성장 요인이 파악되었다. 즉 국내 콤부차 산업의 성장은 콤부차 제조-발효-숙성 공정의 최적화, 다양한 향미 재료의 발굴, 제품 가공의 다각화, 소비자와의 접점인 온・오프라인 유통채널 조성, 코로나19 발발로 인한 면역력 증진의 필요, 영향력 있는 연예인들의 음용 화제, 맛과 건강을 동시에 챙기는 헬시플레저, 지역 농산물이 활용된 제품의 가치 소비, 당과 열량 저감화 선호에 의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국내 학계의 콤부차 개발 고도화 연구, 기업의 신제품 생산 및 소비자와의 소통을 통한 제품의 가치 증진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kombucha industry in South Korea by analyzing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media coverage. To this end, 54 academic papers (23 theses and 31 journal articles) and 1,699 news artic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omestic research on kombucha began in 2003 with studies on its antioxidant properties, and between then and 2020, studies primarily explored its functional properties by adding ingredients such as citrus fruits and medicinal herbs. Since 2021, research has expanded beyond food and nutrition science and food engineering into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confirming the increasing diversity of added ingredients. However, researchers must actively advance the accumulation of scholarly knowledge regarding tea, the essential base of kombucha. Second, analysis of news articles revealed several growth drivers of the kombucha industry in South Korea, including: the optimization of manufacturing, fermentation, and aging processes; the discovery of diverse flavoring ingredients; product diversification; the expansion of both online and 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rising health concerns and interest in immune-boosting foods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celebrity endorsements; the health-oriented healthy pleasure trend; the use of locally sourced agricultural products; and consumer preferences for low-sugar and low-calorie op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intensified academic research to advance kombucha product development and for companies to enhance product value through new product development and activ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목차
Ⅰ. 서론
Ⅱ. 콤부차의 개념 및 제조 방법
Ⅲ. 학위논문 및 학회지에서의 콤부차 연구 동향
Ⅳ. 언론매체에 반영된 콤부차 기사의 소재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돗물의 정수 방식이 홍차 침출수의 맛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문징명〈혜산다회도〉의 형성배경과 예술사적 가치
- 조선후기 여항문인 박윤묵의 차생활이 일상에 주는 의미
- 대한제국기 황실 차 문화 변화 고찰
- Skin-Protective and Anti-Wrinkle Effects of Hot Water Extract from Green Tea Seed Shell
- 한국 차문화의 효율적 해외 전파를 위한 차박물관 도슨트 역량 탐색 연구
- 황칠차를 활용한 차 치유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연구 - 스트레스·우울·수면 질 개선을 중심으로
- 국내의 콤부차 연구 동향과 기사 분석
참고문헌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 기업과혁신연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 고려대 석사논문
- 안동대 석사논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건국대 박사논문
- 중앙대 석사논문
- 고려대 석사논문
- 전남대 박사논문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 산업식품공학
- 안동대 석사논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국립순천대 석사논문
- 약학회지
- 단국대 석사논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창원대 석사논문
- 기초조형학연구
- 한국차학회지
- 산업식품공학
- 한국원예학회학술발표집
- 한국식품과학회지
- 숙대 석사논문
- 차문화・산업학
- 국립순천대 석사논문
- 제주대 석사논문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Introduction: Venturing into Planetary Infrastructural Think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sm Vol.15 No.2 Contents
- 인류세의 기후-인프라: 인프라 인문학의 관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