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황칠차를 활용한 차 치유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연구 - 스트레스·우울·수면 질 개선을 중심으로

이용수  6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ea Therapy Program Using Dendropanax morbifera Tea: Focusing on Stress,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Improvement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이달준(Dal-jun Lee)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69집, 175~20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인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를 활용하여 성인 여성의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한 차 치유프로그램을 탐색적으로 설계하였다. 황칠차의 생리활성 성분(GABA,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등)은 항스트레스, 항산화, 신경 안정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토대로 6회기 프로그램(차 음용, 차 명상, 자연 산책, 정서 나눔, 수면 루틴)을 구성하였다. 또한 조제·용량·섭취 프로토콜과 금기 사항을 제시하고, 효과 검증을 위한 표준화 평가척도(PSS, BDI-II, PSQI, HRV 등)를 도입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기반 탐색 연구라는 한계를 지니지만, 산림치유 및 차 명상 사례, 황칠 관련 실험·임상 논문을 근거로 프로그램의 이론적 타당성과 적용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향후 파일럿 무작위 대조군 연구(RCT)와 사전·사후 비교 설계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고, 지자체·산림복지센터와 연계한 산업화·정책화를 추진한다면 황칠차 기반 치유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정신 건강 증진과 기능성 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f a tea therapy program using Dendropanax morbifera (Hwangchil tree), a medicinal plant native to the southern coastal regions of Korea, with the aim of promoting mental health in adult women. The bioactive components of Hwangchil tea (e.g., GABA, flavonoids, saponins) are known to exhibit anti-stress, antioxidant, and neuro-calming effects. Based on these properties, a six-session program was designed, consisting of tea drinking, tea meditation, nature walks, emotional sharing, and sleep routine management. In addition, preparation methods, dosage, and safety protocols, as well as contraindications, were specified, and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such as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were introduced for effect verification.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as a literature-based exploratory design, its theoretical validity and applicability were reinforced by previous findings from forest therapy, tea meditation practices, and experimental or clinical studies on D. morbifera.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and pre–post comparative designs to empirically verify program effectiveness. Furthermore, by linking the program with local governments and forest welfare centers, and by promoting its industrial and policy integration, Hwangchil tea therapy could contribute to both community mental health promo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tea industr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프로그램 구성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달준(Dal-jun Lee). (2025).황칠차를 활용한 차 치유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연구 - 스트레스·우울·수면 질 개선을 중심으로. 차문화산업학, (), 175-200

MLA

이달준(Dal-jun Lee). "황칠차를 활용한 차 치유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연구 - 스트레스·우울·수면 질 개선을 중심으로." 차문화산업학, (2025): 175-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