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ocent Competencies in Tea Museums for the Effective Global Dissemination of Korean Tea Culture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저자명
- 안소영(So-young An)
- 간행물 정보
- 『차문화산업학』제69집, 145~17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차문화를 효과적으로 해외 전파 시키기 위해 도슨트의 핵심역량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도슨트의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차문화 관련 해설 행위는 관람객에게 전통 차문화의 본질과 관련된 차의 문화적 맥락과 깊이 있는 학술 내용을 습득할 수 있는 경험을 동시에 제공하는 역량이 필요하다. 특히 차박물관은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공간인 동시에, 관람객과 해설자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학습과 공감을 유도하는 장으로 기능한다. 이에 따라 도슨트에게 요구되는 직무는 지식, 기술, 태도 전반에 걸쳐 체계적으로 정의되고 교육될 필요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차박물관에서 활동 중이거나 활동 경험이 있는 도슨트 및 교육 기획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질적 분석하였다. 도출된 내용은 역량 요소 간의 관계성과 구조를 중심으로 KSA(지식, 기술, 태도) 기반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도슨트 교육과정에서 강조되어야 할 핵심영역과 학습 목표를 도출하고, 역량 간 상호작용을 반영한 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문화 콘텐츠 해설 분야에서 직무 기반 교육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차문화외 다양한 해설 분야에도 이론적·실천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of docents who interpret Korea’s traditional tea culture and to provide foundational insights for developing docent training programs. Interpretation of tea culture goes beyond mer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t involves engaging audiences with cultural context and emotional experiences. Tea museums, in particular, serve as platforms not only for present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culture but also for fostering learning and empathy through interaction between docents and visitors. Therefore, a systematic framework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s essential to define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docents. To achieve this goal, qualita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urrent and former docents, as well as program planners, in tea museu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extract key competency areas and structured using the KSA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model. The study presents key learning goals a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docent education based on job-related competencies. By doing so,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tructured training in the field of cultural interpretation and offer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pplicable to other areas of traditional heritag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선행연구 검토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결 론 및 제 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돗물의 정수 방식이 홍차 침출수의 맛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문징명〈혜산다회도〉의 형성배경과 예술사적 가치
- 조선후기 여항문인 박윤묵의 차생활이 일상에 주는 의미
- 대한제국기 황실 차 문화 변화 고찰
- Skin-Protective and Anti-Wrinkle Effects of Hot Water Extract from Green Tea Seed Shell
- 한국 차문화의 효율적 해외 전파를 위한 차박물관 도슨트 역량 탐색 연구
- 황칠차를 활용한 차 치유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연구 - 스트레스·우울·수면 질 개선을 중심으로
- 국내의 콤부차 연구 동향과 기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Introduction: Venturing into Planetary Infrastructural Think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sm Vol.15 No.2 Contents
- 인류세의 기후-인프라: 인프라 인문학의 관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