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예 ‘마음작용’의 관건, ‘호흡’

이용수  0

영문명
The Key to the Psychological Effect of Calligraphy: 'Breathing'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장기준(Ki-jun Jang)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제47호, 295~31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예에는 방법론과 경계론이 공존한다. 방법론은 오늘날까지 체계적으로 전해지고 있지만, 오랜 시간의 학습과정을 획기적으로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논자는 경계론의 시각에서 서예의 또 다른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서예에서 경계론은 개인정서라는 내밀성 때문에 외부로의 표출이 미미하다. 흔히 정서함양에 이롭다는 의견수렴은 있지만 막연할 뿐이다. 그럼에도 경계론에 대한 연구는 지속중이며, 그 요지는 ‘마음작용’ 즉 ‘심리’가 근간을 이룬다. 심리는 개인적 ‘느낌’의 일종으로, 몸과 마음의 연계를 거쳐 유익함으로 드러난다. 따라서 서예가 인간에게 주는 긍정적 ‘느낌’은 분명 존재하며, 논자는 그 단초가 ‘호흡’이라는 사실에 주목하는 바이다. 호흡은 이미 의학적 검증을 통해, 근육과 골격 그리고 자율신경에 미치는 영향력이 확인된다. 무엇보다 호흡이 자신의 의지로써 조절가능하다는 점은, 몸과 마음을 안정시키는 관건이다. 서예에서 호흡은 ‘자세·심리·창작’의 바탕이다. 자세는 섬세한 용필을 위한 안정성이 핵심인데, 이를 호흡으로써 제어한다. 이른바 ‘횡격막호흡’으로 차분함을 이루어 유연한 용필자세를 유지한다. 심리는 마음의 다변적 작용이다. 이로 인한 온갖 감정적 기복을 원활하게 이끌어내고자 할 때, 호흡으로써 절제할 수 있다. 창작은 무엇보다 개성이 중요하기에, 서예학습 중에 드러나는 개성을 자각하지 못하면 단순모방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유년시절의 놀이처럼 보상을 바라지 않는 마음으로 즐겨야 바람직하며, 이러한 ‘즐김’도 결국은 안정된 ‘호흡’에서 비롯된다. 본 논문은 서예에서 마음작용의 관건이 ‘호흡’이며, 이에 집중함으로써 학습의지에 저해가 되는 ‘시간적 부담감’의 한계를 줄이는데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른바 臨書와 같은 전통방식도 존중하면서, 한편으로는 호흡으로 느끼는 서예의 가치에도 주목할 시기이다. 논자는 인간의 본능이라고 할 수 있는 ‘호흡’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서예학습의 새로운 지표라고 여긴다.

영문 초록

In calligraphy learning, methodology and boundary theory coexist. While methodologies have been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they have limitations in overcoming the challenges of long-term learning. This study explores the value of calligraphy from the perspective of boundary theory, which deals with individual emotions. Although the benefits of calligraphy for emotional cultivation are not clearly defined, the focus remains on psychology, with 'breathing' as the foundation. Breathing is crucial, as it can be controlled by one's will and stabilizes both body and mind. In calligraphy, it underpins 'posture, psychology, and creation.' Proper posture is vital for stability in brush strokes, while breathing helps achieve mental tranquility by moderating emotional fluctuations. Individuality is key in creating art; it emerges during the practice of emulating the old. Recognizing this moment prevents mere imitation, allowing for enjoyment of the process without the pressure of expectations. This paper suggests that emphasizing 'breathing' can alleviate the 'temporal burden' that hinders the will to learn calligraphy. While respecting traditional methods, we should also recognize the value of calligraphy gained through breathing. In this light, 'breathing' can become a new perspective on calligraphy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서예자세와 호흡
Ⅲ. 서예심리와 호흡
Ⅳ. 서예창작과 호흡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기준(Ki-jun Jang). (2025).서예 ‘마음작용’의 관건, ‘호흡’. 서예학연구, (), 295-317

MLA

장기준(Ki-jun Jang). "서예 ‘마음작용’의 관건, ‘호흡’." 서예학연구, (2025): 295-3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