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Okdong Yi Seo’s Theory of Self-Attainment in Calligraphy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김정형(Jung-hyung Kim)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제47호, 163~19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옥동 이서(玉洞 李漵, 1662-1723)의 자득미학(自得美學)을 중심으로, 자득 개념이 유가 성리학의 철학 구조 속에서 어떻게 정당화되며, 동시에 道統 및 書統의 창의적 계승과 어떠한 방식으로 조화를 이루는지를 고찰한다. 이서는 주자학의 ‘性卽理’ 사유에 기반하여, 인간의 본성에 내재한 理를 敬의 수양을 통해 발현하고자 하였다. 그는 서예를 단순한 小技가 아닌 書道로 이해하였으며, 自得의 방법을 통해 道를 체득함으로써 서예 속에 天道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득 개념이『中庸』의 時中 『周易』의 中正, 성리학의 經權論, 그리고 왕희지를 중심으로 한 書統 인식과 어떻게 긴밀하게 연결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자득은 道統의 외재적 계승이 아닌 내면화의 실현이며, 형식과 창의, 규범과 자율이 충돌 없이 통합될 수 있음을 논증한다. 더 나아가 이서의 자득은 예술적 표현과 도덕적 수양을 통합함으로써, 유가 예술론 내에서 주체성과 창의성의 도덕적 정당화를 가능하게 하는 심법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자득 미학은 조선 후기 유가 예술 철학의 전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aesthetics of self-attainment (自得) in the thought of Okdong Yi Seo (玉洞 李漵, 1662-1723), examining how the concept of self-attainment is philosophically justified within the structure of Confucian Neo-Confucianism, and how it harmonizes with the creative succession of the Dao lineage (道統) and the calligraphic lineage (書統). Based on the Cheng-Zhu school’s idea of “nature is identical with principle” (性卽理), Yi Seo sought to manifest the principle (理) inherent in human nature through the cultivation of reverence (敬). He regarded calligraphy not merely as a minor technical skill (小技), but as the Dao of Calligraphy (書道), and aimed to embody the Heaven’ Dao(天道) in calligraphy by realizing the Dao(道) through the method of self-attainment.
This paper analyzes how the notion of self-attainmen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concept of timely appropriateness (時中) in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the idea of balanced correctness (中正) in the Book of Changes (周易), the Neo-Confucian theory of balancing principle and expediency (經權論), and Yi Seo’s perception of the calligraphic lineage centered on Wang Xizhi. It argues that self-attainment is not the external succession of the Dao lineage, but the internal realization thereof, and that form and creativity, as well as norm and autonomy, can be integrated without conflict. Furthermore, Yi Seo’s self-attainment integrates artistic expression with moral cultivation, providing a mind-method (心法) structure that enables the moral justification of subjectivity and creativity within Confucian art theory. In this respect, his aesthetics of self-attainment offers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art philosophy in late Joseon Korea.
목차
Ⅰ. 序論
Ⅱ. 自得論의 哲學的 定礎
Ⅲ. 筆意不踰矩의 自得美學
Ⅳ. 結論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예학연구 제47호 목차
- 취묵헌 자용인장(自用印章)의 유형과 성격
- 조선 시대 『노걸대(老乞大)』언해서의 서체 변화에 대한 고찰
- 15·16세기 금석문 제액(題額)의 전서 연구 - 교토대학 부속도서관 소장 『금석집첩(金石集帖)』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 『남계연담(南溪演談)』의 서사 시기 고찰
- 청남 오제봉의 ‘서예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
- 玉洞 李漵 書藝 自得論에 관한 考察 - 筆意不踰矩의 自得美學
- 谿谷 張維의 天機論的 書藝認識
- 謙齋 鄭敾 회화의 目擊道存의 審美意識 고찰
- 이응노의 서예적 쓰기와 추상적 그리기 - ‘구성(Composition)’ 작품을 중심으로
- 통일신라 <華嚴石經> 복원에 관한 提言 - 기존 연구 분석 및 연구 방향 설정에 관하여
- 空间书法与跨媒介表达融合研究——基于案例的分析
- 서예 ‘마음작용’의 관건, ‘호흡’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