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heongnam Oh Je-bong’s Research on Calligraphy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설경희(Kyeong-hee Seol)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제47호, 121~162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에서 서예가로 활동했던 청남 오제봉의 ‘서예 관련 연구’에 관한 고찰이다. 그는 15세에 출가하여 승직에 몸담았던 환속한 서예가로 漢學과 佛學 등에 학식이 高邁한 서예가였다. 1978년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발간된 종합예술동인지 『갈숲』(제1號)에 기고한 「한국의 名筆들」에는, 先人들의 金石文과 글씨 搨本을 모아 개론적인 한국서예사를 정리하고 간략한 비평까지 실어놓았다. 그는 書藝史와 秋史書法에 대한 연구와 비평, 추사의 書評에 관한 비평을 하며 서예의 건전한 비평문화를 유도하였다. 또 1989년 『갈숲』(제27號)에 기고한 「秋史先生雅號集을 내면서」라는 글에는, 자신이 팔십 평생에 추사 선생을 흠모하여 작품에 쓰인 異種 雅號를 수집한 결과물을 실어놓았다. 청남은 추사 김정희의 아호 283首를 수집하여 선행 연구된 아호 220首를 합하여 503首를 발표하였다. 여기에 필자가 수집한 12수의 아호도 함께 제시한다. 이처럼 한국서예사에 중요한 기록물이 될 청남 오제봉의 ‘서예 관련 연구’에 대하여 그 의의와 업적을 기리고 평가하며, 아울러 그의 연구물이 遺失되지 않도록 기록으로 남기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cholarship on Korean calligraphy by Cheongnam Oh Je-bong, a Busan-based calligrapher who entered monastic life at the age of fifteen and later returned to the secular world. Drawing on deep 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and Buddhist philosophy, he established himself as a noble calligrapher in Busan. In 1978, he contributed “Renowned Calligraphers of Korea” to the inaugural issue of the comprehensive arts journal Galsup, where he compiled epigraphic inscriptions and rubbings of earlier masters, organized them into an introductory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and offered succinct critical evaluations. Through these writings, he helped cultivate a constructive culture of calligraphic criticism, engaging in research on the history of calligraphy, on the works of Chusa Kim Jeong-hee, and on critical discourse surrounding Chusa studies. In 1989, in the 27th issue of Galsup, he published “On the Collection of Chusa’s Literary Pseudonyms,” presenting the fruits of his lifelong engagement with Chusa. There, he catalogued 283 pseudonyms used by Chusa and combined them with 220 previously documented names, publishing a total of 503 entries. Building on this foundation, the present study identifies 12 additional pseudonyms, bringing the cumulative total to 515. By reassessing the significance of Cheongnam Oh Je-bong’s contributions to Korean calligraphy studies, this article honors his achievements and preserves his scholarship as a valuable record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서예사와 관련된 연구
Ⅲ. 추사와 관련된 연구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예학연구 제47호 목차
- 취묵헌 자용인장(自用印章)의 유형과 성격
- 조선 시대 『노걸대(老乞大)』언해서의 서체 변화에 대한 고찰
- 15·16세기 금석문 제액(題額)의 전서 연구 - 교토대학 부속도서관 소장 『금석집첩(金石集帖)』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 『남계연담(南溪演談)』의 서사 시기 고찰
- 청남 오제봉의 ‘서예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
- 玉洞 李漵 書藝 自得論에 관한 考察 - 筆意不踰矩의 自得美學
- 谿谷 張維의 天機論的 書藝認識
- 謙齋 鄭敾 회화의 目擊道存의 審美意識 고찰
- 이응노의 서예적 쓰기와 추상적 그리기 - ‘구성(Composition)’ 작품을 중심으로
- 통일신라 <華嚴石經> 복원에 관한 提言 - 기존 연구 분석 및 연구 방향 설정에 관하여
- 空间书法与跨媒介表达融合研究——基于案例的分析
- 서예 ‘마음작용’의 관건, ‘호흡’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