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amination of the Transcription Period of Namgye Yeondam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이보배(Bo-bae Lee)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제47호, 91~12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조선시대 한글 필사본 장서각본 『남계연담(南溪演談)』의 서지적 특징과 서체 양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그 필사 시기를 규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남계연담』은 현재 장서각본, 서울대본, 김광순본으로 세 이본이 전하며, 각 이본은 ‘연담’의 한문 표기에 차이를 보인다.
장서각본 『남계연담』은 궁체 정자의 정제된 서체를 따르면서도 장서각본 『옥원중회연(玉鴛重會緣)』과 장법, 용필법, 결구법에서 일정한 유사성을 지닌다. 이를 통해 두 필사본의 필사자가 유사한 서사 교육을 받았거나 동일한 서체 전통 속에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남계연담』 권2와 권3 중반부에 나타나는 언해 체재는 상단에 한시의 음을 적고, 하단에 작은 글씨로 언해를 덧붙이는 방식이다. 이는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에 걸쳐 나타나는 필사본의 전형적 양식과 일치한다. 이에 따라 『남계연담』의 필사 시기를 18-19세기로 추정할 수 있다.
동시대 필사본 여섯 종과의 비교를 통해 『남계연담』의 서체 특징을 다각도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해당 문헌이 조선 후기 한글 필사 문화 속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남계연담』이 단순한 소설사적 자료를 넘어, 조선 후기 한글 필사 문화와 궁체 정자 서체의 전개 양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료임을 밝힌다. 현존하는 이본들 간의 서체 및 표기 차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기함으로써, 향후 한글 필사본 연구와 서예사 연구의 접점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ibliographic features and calli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Jangseogak edition of Namgye Yeondam(南溪演談), a Hangul manuscript of the Joseon Dynasty, to determine its date of transcription. Three extant witnesses are identified—the Jangseogak editio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edition, and the Kim Gwang-sun edition—and they exhibit divergent Sino-Korean character notations for “Yeondam”. The Jangseogak edition of Namgye Yeondam follows the refined court-style regular script (gungche jeongja) and shares notable similarities with the Jangseogak edition of Okwon Junghoeyeon in terms of disposition, brushwork, and character structure. Such affinities suggest that the scribes of the two manuscripts received comparable training or participated in the same calligraphic tradition. Moreover, the vernacular translation (eonhae) format observed in vol. 2 and the mid-section of vol. 3—phonetic transcription of classical Chinese poetry in the upper register, with smaller Hangul vernacular translation below—conforms to a widely attested manuscript convention from the late eighteenth to nineteenth centuries, allowing the transcription to be dated to the eighteenth to nineteenth centuries. A comparative analysis with six contemporaneous manuscripts further clarifies the work’s position within late Joseon Hangul manuscript culture. Overall, the study demonstrates that Namgye Yeondam is a key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court-style regular script and late Joseon Hangul manuscript practices, and it calls for follow-up research on inter-witness variation in script and orthograph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남계연담』의 이본 및 서지 사항
Ⅲ. 『남계연담(南溪演談)』의 서체 특징
Ⅳ. 『남계연담(南溪演談)』의 필사 시기 분석
Ⅴ.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예학연구 제47호 목차
- 취묵헌 자용인장(自用印章)의 유형과 성격
- 조선 시대 『노걸대(老乞大)』언해서의 서체 변화에 대한 고찰
- 15·16세기 금석문 제액(題額)의 전서 연구 - 교토대학 부속도서관 소장 『금석집첩(金石集帖)』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 『남계연담(南溪演談)』의 서사 시기 고찰
- 청남 오제봉의 ‘서예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
- 玉洞 李漵 書藝 自得論에 관한 考察 - 筆意不踰矩의 自得美學
- 谿谷 張維의 天機論的 書藝認識
- 謙齋 鄭敾 회화의 目擊道存의 審美意識 고찰
- 이응노의 서예적 쓰기와 추상적 그리기 - ‘구성(Composition)’ 작품을 중심으로
- 통일신라 <華嚴石經> 복원에 관한 提言 - 기존 연구 분석 및 연구 방향 설정에 관하여
- 空间书法与跨媒介表达融合研究——基于案例的分析
- 서예 ‘마음작용’의 관건, ‘호흡’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