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Regulatory Policy through the Improvement of Regulatory Review System
- 발행기관
- 공공선택학회
- 저자명
- 고인석(In Seok Ko)
- 간행물 정보
- 『공공선택학저널』제4권 제2호, 51~7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부가 새로운 규제를 신설하거나 규제를 완화한다는 의미는 규제의 합리적 수준을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행정서비스 영역에서 국민에 대한 편의성을 질적으로 개선하고 경제영역에서 발전적 토대의 형성과 경쟁력을 향상해 나가기 위함이다. 국가는 합리적 규제의 적정수준을 결정하여 규제에 따르는 비용과 편익에 있어서 비용보다 편익이 커지도록 정책을 형성해 나가야 한다. 정책결정권자인 입법권자는 정책의 유형에 따라 어떠한 범위와 내용으로 규제를 형성할지 폭넓은 형성의 자유를 가지게 된다. 정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합리적 규제의 수준을 정책 및 입법의 영역으로 수렴하여 적정 규제개선을 통하여 국민생활의 질적 개선과 경제발전을 위한 합리적 규제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정책이 입법으로 완결되는 만큼 입법과정에서 체계적 규제심사와 합리적 규제기준의 적용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의 정책형성 및 입법과정에서 적용되어온 사전적 규제심사제도 및 규제심판제도의 한계요인과 해외 국가의 규제영향평가제도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우리 한국에 적용가능한 해외 국가의 규제영향평가제도의 장점에 근거한 합리적 규제의 심사체계와 기준을 구축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reason why the government creates new regulation or eases regulation is to qualitative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people in the field of administrative service and to improve the formation of a developmental foundation and competitiveness in the economic field by reflecting the reasonable level of regulation in the policy. In the case of overregulation, it causes inconvenience to people's lives or hinders the autonomy of economic activities, leading to economic recession. The state should determine the appropriate level of rational regulation and form policies to ensure that the cost and benefit of regulation outweigh the cost. Legislator, who are policy maker, have a wide range of freedom to form regul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policy. As the policy is completed by legislation, systematic regulatory review and application of rational regulatory standard are required in the legislative process. This paper identifies the limitations of the pre-regulatory review and regulatory review system applied in Korea's policy-making and legislative processes, analyz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foreign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system, and proposes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standard applicable to Korea and alternative for reasonable regulatory review.
목차
Ⅰ. 서론
Ⅱ. 규제심사제도 및 규제심판제도 운영상의 한계
Ⅲ. 해외 국가 규제영향평가제도의 시사점
Ⅳ. 규제의 품질관리를 통한 정책의 효율성 달성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공선택학저널 제4권 제2호 목차
- 사회지출에 대한 공공선택학적 기제: 이익집단, 유권자, 그리고 정치인의 역학관계
- 고성장기업의 생산성 역학: 한국 제조업의 실증적 증거
- 규제심사제도 개선을 통한 규제정책의 효율성 달성방안 연구: 해외 국가 규제영향평가제도의 시사점 연구를 중심으로
- 양극화 민주주의 국정의 재화적 속성
-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작동원리와 문제점
- 유럽연합 배출권거래제의 공공선택 이론적 분석
- [서평] Alvin Rabushka and Kenneth Shepsle, Politics in Plural Societies: A Theory of Democratic Instability, (Columbus, OH: Charles E. Merrill, 1972, 232 pag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