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oductivity Dynamics of High-Growth Firms: Evidence from Korean Manufacturing
- 발행기관
- 공공선택학회
- 저자명
- 박진호(Jin Ho Park)
- 간행물 정보
- 『공공선택학저널』제4권 제2호, 17~5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업의 총요소생산성(TFP)이 고성장기업(High-Growth Firms)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다. 그리고, 고성장기업이 되는 결정요인과 고성장 경험이 향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실증분석 방법으로는 Du and Temouri(2015)의 방법론에 기반해, 패널 프로빗모형과 분위회귀를 사용한다. 고성장기업의 식별은 통계청 방법론을 적용하고, 데이터는 통계청의 광업제조업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사용한다. 실증 결과, 생산성이 고성장의 중요한 선행요인으로서 생산성이 향상될수록 기업의 고성장 가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며, 고성장 경험이 있는 기업은 이후에도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창업 중심의 기존 중소기업 정책에서 벗어나 성장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선별 지원하고 혁신생태계 조성을 지원하는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the rol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in the rise of high-growth firms (HGFs). Our research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HGFs and assesses the effect of a high-growth period on a firm's future productivity trajectory. Our empirical analysis is based on the methodology of Du and Temouri (2015). We run a panel probit model and quantile regression. We identify HGFs using the methodology of Statistics Korea, and the analysis is based on microdata from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Survey, provided by Statistics Korea. The empi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productivity is a key driver of high growth. Our results suggest that as a firm’ productivity improves, its propensity to become an HGF rises significantly. We find that a period of high growth contributes to the persistence of high productivity. The policy Implications indicate a reorientation of traditional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SME) policies from a focus on startups towards selecting support for firms with high growth potential and the fostering of an innovation ecosystem.
목차
Ⅰ. 서론
Ⅱ. 고성장기업에 대한 정책 지원 필요성
Ⅲ. 선행 연구
Ⅳ. 고성장기업의 측정, 데이터와 실증분석 전략
Ⅴ. 실증분석 결과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공선택학저널 제4권 제2호 목차
- 사회지출에 대한 공공선택학적 기제: 이익집단, 유권자, 그리고 정치인의 역학관계
- 고성장기업의 생산성 역학: 한국 제조업의 실증적 증거
- 규제심사제도 개선을 통한 규제정책의 효율성 달성방안 연구: 해외 국가 규제영향평가제도의 시사점 연구를 중심으로
- 양극화 민주주의 국정의 재화적 속성
-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작동원리와 문제점
- 유럽연합 배출권거래제의 공공선택 이론적 분석
- [서평] Alvin Rabushka and Kenneth Shepsle, Politics in Plural Societies: A Theory of Democratic Instability, (Columbus, OH: Charles E. Merrill, 1972, 232 pag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