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igh school students’ expectancy-value-cost profile in mathematics: Differences in academic behaviors and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우연경(Yeon-Kyoung Woo) 김성경(Seongkyeong Kim) 최영인(Youngin Choi) 정송(Song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8권 제3호, 245~26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대-가치 이론에 기반하여 고등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동기를 기대, 과제가치(내재,성취, 유용), 과제비용(노력, 기회, 정서)을지표로 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고, 도출된 동기 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 행동(수업참여, 공부시간, 학업지연, 진로선택) 및 학업성취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다섯 개의 동기 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첫째, 기대와 가치가 높고 비용이 낮은 적응형, 둘째, 기대와 가치가중간 이상이면서 비용도 높은 고동기-고부담형, 셋째, 모든 변인이 평균 수준인 중간동기형, 넷째, 기대와 내재가치는 낮으나 성취가치와 비용이높은 저동기-고부담형, 마지막으로, 기대와 가치가 매우 낮고 비용은 가장 높은 부적응형 집단이 도출되었다. 이 중 적응형 집단은 높은 학업성취와수업 참여, 수학 관련 진로 선택 가능성, 많은 수학 공부 시간의 특성을 보였다. 반대로, 부적응형은 전반적으로 낮은 참여와 성취 수준과 높은 학업지연을 나타냈다. 주목할 만한 점은 고동기-고부담형 집단이 높은 비용 인식에도 불구하고 적응형과 유사한 수준의 수학 공부 시간을 보였다는 점으로, 이는 높은 비용 인식이 반드시 부정적 학업 행동으로 이어지지는 않으며, 다양한 동기 구성 요소들이 상호작용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프로파일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육에서의 동기 증진을 위한 맞춤형 교육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latent profile analysis based on expectancy-value theory to identify motivation profil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mathematics, using expectancy, task values (intrinsic, attainment, utility), and perceived costs (effort, oppor tunity, emotional) as indicators. Five distinct profiles emerged: (1) adaptive (high expectancy/value, low cost), (2) high-motiva tion-high-burden, (3) moderate motivation, (4) low-motivation-high-burden, and (5) maladaptive (low expectancy/value, high cost). These profi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behaviors (class participation, study time, delay, and career in tention) and achievement. Notably, the high-motivation-high-burden group demonstrated similar study time to the adaptive group despite high costs, suggesting that cost perceptions do not uniformly undermine achievement.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differentiated motivational support in mathematics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3호 목차
- 평면도형의 이동으로 살펴본 한·일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 ‘모든 수열’ 표현에 대한 인식론적 분석과 교육적 고찰
-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부정적 표현 분석: 미국, 영국, 캐나다, 싱가포르, 호주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중학교 1학년 자료와 가능성 영역 교수·학습에서 갤러리 워크 활동의 영향에 대한 사례 탐색
-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 기반한 통계포스터 제작 프로젝트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통계적 소양에 관한 연구
- 수학 학습에 대한 고등학생의 기대-가치-비용 잠재프로파일: 학업 행동과 성취 차이 분석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