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pistemological analysis and educational reflection on the expression ‘all sequences’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김성준(Sung Joon Kim) 박선용(Sun Yo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8권 제3호, 211~22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수열족 문항에서 등장하는 ‘모든 수열 {aₙ}’ 표현을 예비수학교사들이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분석하고, 그해석 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려움이 보편양화 개념의 인식론적 특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수학교사 4명을 대상으로 개별 및 초점집단 면담을 실시하고, 보편양화에 대한 철학적 입장을 이론적 틀로 삼아 이들의 해석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수학교사들은 ‘모든’ 표현을 집합적 의미로 해석하며, 수열을 함수가 아닌 수열값들의 집합으로 오해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과 ‘각각’ 표현을서로 다른 문제 상황을 나타낸다고 인식하며, 수학적으로 동치인 보편양화 표현에 대해 상이한 판단을 내렸다. 본 연구는 수학교사 양성 과정에서보편양화 표현에 대한 논리적, 철학적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terpret the expression ‘all sequence {aₙ}’ as it appears in questions on sequences in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It also investigates how the difficulties they encoun ter in this interpretive process are related to the epistem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quantification. To this end,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nrolled in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ir interpretative tendencies were analyzed within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universal quantification—particularly the contrast between intuitionism and formalism. The findings reveal that prospective teachers tend to interpret the word ‘all’ in a collective sense and frequently misunderstand sequences as mere sets of values rather than as functions. Furthermore, They recognized that the expressions “all” and “each” represent different problem situations, and made different judgments on universally quantified statements that are mathematically equivalent.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logical and philosophical training on universally quantified expressions with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3호 목차
- 평면도형의 이동으로 살펴본 한·일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 ‘모든 수열’ 표현에 대한 인식론적 분석과 교육적 고찰
-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부정적 표현 분석: 미국, 영국, 캐나다, 싱가포르, 호주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중학교 1학년 자료와 가능성 영역 교수·학습에서 갤러리 워크 활동의 영향에 대한 사례 탐색
-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 기반한 통계포스터 제작 프로젝트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통계적 소양에 관한 연구
- 수학 학습에 대한 고등학생의 기대-가치-비용 잠재프로파일: 학업 행동과 성취 차이 분석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