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nhancing for In-Unit Electrical Inspections in Apartment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강은택(Eun Taek Kang) 안아림(Ah Rim Ahn) 변혜영(Hye Young Byeon) 박용찬(Yong Chan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77호, 295~31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안전관리법 및 그 하위법령에 의한 공동주택 세대 내 전기설비 점검제도의 도입 과정과 그 법적・절차적 적정성을 규범적・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더 많은 국민이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안전점검 대상에 포함되어 전기로 인한 화재로부터 안전해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방청 통계와 관련 문헌, 법령・고시 개정 경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규제영향분석 수행 여부와 공표・의견수렴 절차의 이행상태를 점검하였다. 또한 세대 수 및 예상 비용을 산출 하여 규제의 영향범위를 계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세대 내 점검 의무는 약 1,169만 호(약 2,700만 명)에 해당하고 연간 직접비 용은 약 950억 원으로 추정되어 「행정규제기본법」상 중요규제의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시 개정 과정에서는 규제영향분석서 미공표, 중요규제 해당성의 오판 등의 절차적・형식적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규제를 이행하는데 있어 현실적인 문제점을 검토 하여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본래 법 제정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행정규제기본법 위반사항 시정 및 재검토, 법 제정의 취지를 고려한 하위법령 개정, 공공의 비용 부담 및 책임 담보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기설비 사고 로부터 국민의 안전 보장에 진일보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normatively and empirically examines the introduction and legal-procedural appropriateness of household electrical equipment inspections under the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Act and its subordinate rules, and proposes corrective measures. It aims to expand the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s inspection remit to better protect citizens from electrically caused fires. Methods include review of fire statistics, literature, legislative and notice-level amendments, and an audit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RIA) performance, publication, and consultation.
The study quantifies impact—affecting roughly 11.69 million housing units (≈27 million people) with estimated annual direct costs of KRW 95 billion—meeting the threshold for a “significant regulation.”Procedural deficiencies (RIA non-publication, misclassification)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barriers were identified. Recommendations include rectification and review under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Regulations, subordinate-rule amendment aligned with legislative intent, and measures for public cost-sharing and accountability. These reforms are expected to strengthen the law’s public-safety objectives.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Ⅲ. 공동주택 화재 현황
Ⅳ. 공동주택 세대 내 전기설비점검
Ⅴ. 제도개선 방안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리츠(REITs) 상품 선택속성이 투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가치, 신뢰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울시 보증금 미반환 임차불안이 임차권등기명령 건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독거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와 비자발적 잔류 요인 분석 - 잠재계층분석을 중심으로
- 노인의 AIP 태도에 대한 잠재계층 유형화 및 예측요인
- 숙소 제공 정보를 활용한 부산광역시 에어비앤비 숙박가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텍스트 마이닝에 의한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al Estate and Digital Assets
- 탄소중립 그린캠퍼스 구성요소 및 적용
- DEA 분석을 통한 동물병원 입지 효율성 분석
- CPTED 관련 조례 의무화를 통한 주거만족도 개선 방향
-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 기준의 위계 설정에 관한 연구
- 청년의 주거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정책적 함의 - 천안시를 중심으로
- 공동주택 세대 내 전기설비점검 제도개선 방안 연구
- 공공분양주택 재건축사업의 진행단계별 갈등요인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고령가구의 점유형태에 따른 주거이동의향 결정요인 -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