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et Zero Green Campus Components and Application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박미옥(Miok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77호, 187~20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50탄소중립을 위한 실천적 해법으로서 탄소중립 캠퍼스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실제 적용된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연구와 국내외에서 실제 조성한 사례를 조사하여 탄소중립 캠퍼스 구성요소를 설정한 후, 탄소중립과 환경계획 관련 강의 및 연구 수행 경험이 많은 대학교수 및 박사급 연구원을 대상으로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검증하 였다. 구성요소는 탄소중립비전(저탄소운영체계, 탄소중립 목표 및 이행), 생태순환기반(생태성 증진, 그린인프라, 생태자원순환), 에너지전환(에너지전환, 녹색교통 녹색소비), 실천 및 거버넌스(녹색실천행동, 융합교육연구) 등으로 구분하여 세부요소를 도출하고 각 실천전략을 제안하였고, 국내외 우수 그린캠퍼스 대학에 적용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a carbon-neutral campus as a practical solution for achieving Net Zero by 2050 to analyze actual implementation cases. The components of a carbon-neutral campus were establish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n analying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These components were verified through in-depth expert interviews with university professors and doctoral researchers with extensive experience teaching and conducting research on carbon neutrality and environmental planning. The component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areas: carbon neutrality vision(low-carbon operation system, carbon neutrality goal and implementation), ecological circulation foundation(enhancing ecology, green infrastructure, ecological resource circulation), energy transition(energy transition, green transportation, green consumption), and practice and governance(green practice behavior, convergent education research). Detailed elements were identified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were proposed for each. The study analyzed cases implemented at leading green campus universities in Korea and abroa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Ⅲ. 탄소중립 그린캠퍼스 구성요소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리츠(REITs) 상품 선택속성이 투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가치, 신뢰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울시 보증금 미반환 임차불안이 임차권등기명령 건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독거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와 비자발적 잔류 요인 분석 - 잠재계층분석을 중심으로
- 노인의 AIP 태도에 대한 잠재계층 유형화 및 예측요인
- 숙소 제공 정보를 활용한 부산광역시 에어비앤비 숙박가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텍스트 마이닝에 의한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al Estate and Digital Assets
- 탄소중립 그린캠퍼스 구성요소 및 적용
- DEA 분석을 통한 동물병원 입지 효율성 분석
- CPTED 관련 조례 의무화를 통한 주거만족도 개선 방향
-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 기준의 위계 설정에 관한 연구
- 청년의 주거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정책적 함의 - 천안시를 중심으로
- 공동주택 세대 내 전기설비점검 제도개선 방안 연구
- 공공분양주택 재건축사업의 진행단계별 갈등요인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고령가구의 점유형태에 따른 주거이동의향 결정요인 -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