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etting priorities of Growth Management Planning Zones Designation Criteria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박상옥(Sang Ock Park) 이명훈(Myeong Hun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77호, 245~27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전국 지자체에서의 성장관리구역 지정 개소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장관리계획이 제대로 작동하여 비시가화지역의 무분별한 개발행위가 제대로 관리되려면, 성장관리계획구역의 지정 기준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성장관리계 획구역 지정 기준에 대한 개선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성장관리계획구역의 지정 실태를 살펴보고, 둘째,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및 「성장관리계획수립지침」등에 있는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 기준에 대해 살펴보고, 셋째, 전국의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 실태와 경기도 18개 시군을 대상으로 그 지정 사례를 살펴본 뒤, 넷째, AHP기법을 활용하여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 지표에 대한 위계를 설정하고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 기준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전문가들은 도시성장관리의 목적 중 삶의 질 향상과 관계있는 성장관리구역 지정 지표에 대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압축적・효율적인 도시공간구조, 무질서한 개발억제에 유사한 수준의 가중치를 두었으나 납세자 보호에 대해서는 그 중요도를 낮게 평가했다. 이는 성장관리에 있어 양적 개발에 따른 정주환경 훼손, 난개발 등의 문제를 해결 하려는 방안에 대한 지표가 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number of growth management planning zone designations by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has been rapidly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improve designation criteria so that growth management plans can effectively control unregulated development in non-urbanized areas. We examine current designation status, review criteria in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and Guidelines for Establishing Growth Management Plans, analyze nationwide trends, and investigate cases from 18 Gyeonggi Province citie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is applied to establish criterion hierarchy and propose improvements.
Expert evaluation revealed that quality of life improvement criteria—one of urban growth management's primary purposes—were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designating growth management planning zones, followed by criteria for creating compact urban spatial structures and suppressing disorderly development, both receiving similar weights. Taxpayer protection was assigned lower import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rowth management should primarily focus on addressing residential environment deterioration and disorderly development arising from quantitative expans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 실태 및 기준 검토
Ⅳ.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 지표 위계 설정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리츠(REITs) 상품 선택속성이 투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가치, 신뢰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울시 보증금 미반환 임차불안이 임차권등기명령 건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독거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와 비자발적 잔류 요인 분석 - 잠재계층분석을 중심으로
- 노인의 AIP 태도에 대한 잠재계층 유형화 및 예측요인
- 숙소 제공 정보를 활용한 부산광역시 에어비앤비 숙박가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텍스트 마이닝에 의한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al Estate and Digital Assets
- 탄소중립 그린캠퍼스 구성요소 및 적용
- DEA 분석을 통한 동물병원 입지 효율성 분석
- CPTED 관련 조례 의무화를 통한 주거만족도 개선 방향
-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 기준의 위계 설정에 관한 연구
- 청년의 주거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정책적 함의 - 천안시를 중심으로
- 공동주택 세대 내 전기설비점검 제도개선 방안 연구
- 공공분양주택 재건축사업의 진행단계별 갈등요인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고령가구의 점유형태에 따른 주거이동의향 결정요인 -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