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Living Support Measures in Public Interest Projects : Focusing on Hanam Gyosan New Town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박기용(Ki-Yong Park) 이춘원(Choon-Won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77호, 53~6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하남교산신도시 개발사업을 사례로 공익사업 생활대책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것이다. 공익사업으로 인해 이주한 주민들이 경험한 생활권 침해와 그에 대한 보상・지원 만족 도를 측정하고, 특히 세입자와 소유자 간 만족도 차이를 비교한 것이 핵심이다. 이 연구는 생활대책의 중요성과 실효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두 집단 간 보상 만족도의 현격한 격차를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유자는 전반적인 보상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보상금 액과 이주대책에서 높은 만족을 보였다. 반면 세입자는 전반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기록했으 며, 보상 공정성과 정보 제공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이러한 차이는 공익사업 생활대 책이 세입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세입자 중심의 맞춤형 생활대책 강화 필요성을 강조한다. 구체적으로는 보상금액 현실화, 주거안정성 확보, 생계지원 강화와 함께 법적・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각 집단 특성에 부합하는 정책 설계를 통해 공익사업의 형평성 문제를 해소해야 함을 강조하 며, 향후 유사한 대규모 개발사업의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satisfaction with livelihood measures in public interest projects, using the Hanam Gyosan New Town development project as a case study. The core focus is measuring the satisfaction levels regarding compensation and support among residents who relocated due to public interest projects, particularly comparing satisfaction differences between tenants and property owners. This research empirically validates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livelihood measures and discovers a significant gap in compensation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property owners showed relatively high overall compensation satisfaction, particularly expressing high satisfaction with compensation amounts and relocation measures. In contrast, tenants recorded generally low satisfaction levels, with the lowest satisfaction regarding compensation fairness and information provision. This difference suggests that livelihood measures in public interest projects fail to provide substantial assistance to tenants.
The study also emphasizes the need to resolve equity issues in public interest projects through policy design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nd holds significance as it can be utilized as foundational data for policy improvements in similar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설계 및 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리츠(REITs) 상품 선택속성이 투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가치, 신뢰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울시 보증금 미반환 임차불안이 임차권등기명령 건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독거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와 비자발적 잔류 요인 분석 - 잠재계층분석을 중심으로
- 노인의 AIP 태도에 대한 잠재계층 유형화 및 예측요인
- 숙소 제공 정보를 활용한 부산광역시 에어비앤비 숙박가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텍스트 마이닝에 의한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al Estate and Digital Assets
- 탄소중립 그린캠퍼스 구성요소 및 적용
- DEA 분석을 통한 동물병원 입지 효율성 분석
- CPTED 관련 조례 의무화를 통한 주거만족도 개선 방향
-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 기준의 위계 설정에 관한 연구
- 청년의 주거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정책적 함의 - 천안시를 중심으로
- 공동주택 세대 내 전기설비점검 제도개선 방안 연구
- 공공분양주택 재건축사업의 진행단계별 갈등요인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고령가구의 점유형태에 따른 주거이동의향 결정요인 -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