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ubjective Perceptions of Youth Housing Environment and Policy Implications : The Case of Cheonan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윤향숙(Hyang Suk Yun)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77호, 279~29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2020년대 중반에 이르러 저 출산 문제와 인구 문제가 노동력, 생산성, 연금 등과 밀접히 연계되면서 사회・경제적 국가 위기로 심화하고 있다. 이에 충청남도 천안시에 거주하는 청년들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다수가 전월세 형태의 거주 방식을 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청년 정책에 대한 관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AHP 기법을 활용하여 천안시에 거주하는 청년, 천안시 청년센터 직원, 그리고 부동산학을 전공한 공인중개사 직업군 성인을 대상으로 주거환경 요소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천안시 청년 주거복지 정책 수립에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선행연구 검토와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주거 관련 요소를 도출하여 AHP 분석 모형을 설계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분류 항목 가운데서는 ‘시설성’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여, 청년층이 주거의 물리적 조건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세부 항목에서는 채광 및 환기, 냉난방 효율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었으며, 이는 청년 주거정책이 심리적 안정감, 환경적 쾌적성, 경제적 부담 완화 등 다차원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향후 청년 주거정책은 청년층의 다양한 수요와 요구를 반영하여 설계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주거 안정성과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mid-2020s, South Korea has faced a deepening socio-economic national crisis as issues of low fertility and population decline have become closely linked to labor supply, productivity, and pension sustainability. A survey of young residents in Cheonan, Chungcheongnam-do, revealed that the majority reside in rental housing, with high levels of interest in youth-related policies despite relatively low levels of detailed understanding.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iority and relative importa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by appl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analysis targeted young residents of Cheonan, staff members of the Cheonan Youth Center, and licensed real estate agents with academic backgrounds in real estate studies.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prior studies and brainstorming outcomes, and a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AHP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among the main categories, “facility-related factors” had the highest importance, confirming that young people place significant emphasis on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ir housing. At the sub-factor level, lighting and ventilation, as well as heating and cooling efficiency, were identified as the most critical elem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youth housing policies must take into account multiple dimensions—including psychological stability, environmental comfort, and economic burden relief.
In conclusion, future youth housing policies should be designed to reflect diverse needs and demands of the younger generation, thereby enhancing both housing stability and overall quality of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리츠(REITs) 상품 선택속성이 투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가치, 신뢰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울시 보증금 미반환 임차불안이 임차권등기명령 건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독거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와 비자발적 잔류 요인 분석 - 잠재계층분석을 중심으로
- 노인의 AIP 태도에 대한 잠재계층 유형화 및 예측요인
- 숙소 제공 정보를 활용한 부산광역시 에어비앤비 숙박가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텍스트 마이닝에 의한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al Estate and Digital Assets
- 탄소중립 그린캠퍼스 구성요소 및 적용
- DEA 분석을 통한 동물병원 입지 효율성 분석
- CPTED 관련 조례 의무화를 통한 주거만족도 개선 방향
- 성장관리계획구역 지정 기준의 위계 설정에 관한 연구
- 청년의 주거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정책적 함의 - 천안시를 중심으로
- 공동주택 세대 내 전기설비점검 제도개선 방안 연구
- 공공분양주택 재건축사업의 진행단계별 갈등요인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고령가구의 점유형태에 따른 주거이동의향 결정요인 -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