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rections for Peer Consultation Based on School Counselors’ Perceptions and Need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권민성(Min-Seong Kwon) 강승희(Seung-Hee Ka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3호, 297~32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교상담자의 학교상담 컨설팅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동료 컨설팅의 필요성과 효과적 실행을위한시사점을 도출하는 데목적이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학교상담자 1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빈도분석을 통해 인식 수준과 구체적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에 학교상담 컨설팅에 대한 전반적 인식은 낮았으나, 전문성향상을 위한참여의지는높게나타났다. 실제현장에서는 비공식적인 동료 또는 선배 학교상담자와의 컨설팅 활용이 잦았으나, 공식적인 컨설팅 제도는 거의 활용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동료 컨설팅이 구조화된 지원 체제로서 학교상담 현장에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학교상담 컨설팅 개념의 공유 및 확산, 협력적 문화 조성, 표준화된 훈련프로그램개발, 제도적·재정적 지원의 확보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school counselors’ perceptions and needs regarding school counseling consultation, with a focus on identifying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eer consultation frameworks. Method: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71 school counselors, and frequency analyse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ir levels of awareness and need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a generally limited awareness of school counseling consultation. However, participants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onsultation activ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formal peer or senior consultations were frequently utilized, while formal systems remained underu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er consultation may serve as an effective structured and supportive mechanism in school counseling. Conclusion: To ensure effective implementation, it is recommended that a shared conceptualization of school counseling consultation be established, a collaborative culture fostered, standardized training programs developed, and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secur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교육 거버넌스를 위한 교육 중간지원조직 운영 정책 방향 탐색: 한국과 일본 사례 고찰에 기초하여
- 지산학 교육공동체 기반 Co-Op교육의 3개년 효과성 분석: 지역인재 정주 및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생·교원·산업체 인식을 중심으로
-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속가능성 요인 탐색 연구
- 초등교육분야 국내 PBL 연구 동향 분석
- 초등일반교사 통합교육 역량 척도 개발 기초 연구
- 학교-지역사회 연계 요소에 관한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참여자의 인식 분석
- 예비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대학 교양 교육과정 편성의 제도적 재구조화 논의: H 종합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놀이학습공동체 기반 보육과정 컨설팅에 참여한 영유아교사의 경험 탐구: 놀이와 교육내용을 통한 배움을 중심으로
- 느린 학습자의 경험에 근거한 지원 요구 및 방향고찰: 질적메타분석
- 예비영유아교사의 아동과 권리 인식연구: 아동권리와 복지 수업의 프로젝트 활동을 중심으로
- 지역문학으로서의 현대시 공간 교수 설계 연구
- 학교상담자의 컨설팅 인식 및 요구조사에 기초한 동료 컨설팅의 과제
- 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에 대한 의미 탐색: 장-뤽-낭시 ‘무위(無爲)의 공동체론’을 중심으로
- 생존분석을 활용한 특성화고 학생의 중도 탈락 영향 요인분석
- 필리핀 유치원 글로벌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변화와 경험: 현지 유아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중심으로
-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언향적 단계 중도 뇌성마비 아동의 요구하기와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의 디지털 기기 사용 역량과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의 성인애착, 역전이 관리능력 및공감피로간관계: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