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 Design for the Space of Modern Poetry as Regional Literature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송주호(Ju-Ho Song) 박준형(Jun-Hyeong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3호, 277~29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역문학으로서의 현대시를 교육하는 데 있어 지역적 공간에 주목하여 AI· 디지털 융합 교수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Richey & Klein(2014)의 설계·개발연구(DDR) 방법론을 토대로 3D creation & coding SW를 활용한 6단계 실습 중심 교수모형을 개발하였고, 부산 지역현대시를주제로중학생대상실제수업을실시하여그효과성과타당성을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마인크래프트 등 SW를 활용하여 지역 현대시의 공간을 창의적으로 구현하며, 이 교수모형이 학습자의 흥미와 몰입, 의미 있는 학습 경험, 다차원적 문학 감상을 효과적으로 유도했음을 확인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지역 현대시 수업에서의 디지털 융합·실습중심 교수모형의 교육적 가능성을 실증하였으며, 학교 현장 적용 모델의 고도화가 지속적으로필요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I-digital convergence instructional model for teaching modern poetry as regional literature, with a particular focus on regional spaces. Method: Based on Richey & Klein’s (2014)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DDR) methodology, a six-stage, practice-oriented instructional model was developed using 3D creation and coding software. The model was applied in actual classes with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modern poetry from the Busan region as the subject matter, and its effectiveness and validity were analyzed. Results: Students creatively embodied the spatial dimensions of regional modern poetry through software such as Minecraft. The model was found to effectively foster learners’ interest, engagement,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and multidimensional literary appreciatio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a digital convergence, practice-oriented instructional model in modern poetry education. It also suggests the continued refinement of such models for broader application in school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3D creation & coding SW 활용 지역 현대시 교육의 설계
Ⅲ. 3D creation & coding SW 활용 지역 현대시 교육의 실제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교육 거버넌스를 위한 교육 중간지원조직 운영 정책 방향 탐색: 한국과 일본 사례 고찰에 기초하여
- 지산학 교육공동체 기반 Co-Op교육의 3개년 효과성 분석: 지역인재 정주 및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생·교원·산업체 인식을 중심으로
-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속가능성 요인 탐색 연구
- 초등교육분야 국내 PBL 연구 동향 분석
- 초등일반교사 통합교육 역량 척도 개발 기초 연구
- 학교-지역사회 연계 요소에 관한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참여자의 인식 분석
- 예비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대학 교양 교육과정 편성의 제도적 재구조화 논의: H 종합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놀이학습공동체 기반 보육과정 컨설팅에 참여한 영유아교사의 경험 탐구: 놀이와 교육내용을 통한 배움을 중심으로
- 느린 학습자의 경험에 근거한 지원 요구 및 방향고찰: 질적메타분석
- 예비영유아교사의 아동과 권리 인식연구: 아동권리와 복지 수업의 프로젝트 활동을 중심으로
- 지역문학으로서의 현대시 공간 교수 설계 연구
- 학교상담자의 컨설팅 인식 및 요구조사에 기초한 동료 컨설팅의 과제
- 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에 대한 의미 탐색: 장-뤽-낭시 ‘무위(無爲)의 공동체론’을 중심으로
- 생존분석을 활용한 특성화고 학생의 중도 탈락 영향 요인분석
- 필리핀 유치원 글로벌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변화와 경험: 현지 유아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중심으로
-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언향적 단계 중도 뇌성마비 아동의 요구하기와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의 디지털 기기 사용 역량과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의 성인애착, 역전이 관리능력 및공감피로간관계: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