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irections to Support based on the Experiences of Slow Learners: A Qualitative Meta-Analytic Approach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병건(Byoung-keon Kim) 박유정(Yu-jeong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3호, 229~25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외 느린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를 통하여 느린 학습자의 경험에 근거한 지원요구및방안에대해탐색하고자하였다. 연구방법: 국내외 9편의 질적연구를선정하여 주제분석법과 귀납적 범주화를 활용한 질적메타분석을 실시, 네 가지 중심테마 및 중심테마별 하위 내용을 도출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느린 학습자는 학습 및 인지 영역뿐만 아니라, 지적장애와는 다른 독특한 정서·사회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심리상담과 중재 프로그램은 긍정적 효과를 보이나, 상담 시간 부족, 전문인력 부족, 가족·학교 협력 미흡 등의 한계가확인되었다. 또한 정책 및 제도와 현장 실행 간 괴리, 법적 근거 미비, 서비스 편차, 인력 및 예산 부족도 문제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느린 학습자 지원을 위해 체계적인 법적근거 확립, 다학제 협력 강화, 맞춤형 프로그램 및 디지털 도구활용, 실무자 역량 강화, 가족·지역사회 연계, 장기적 사례관리 체계 구축의 필요성 등에 대해 제언하며, 지속 가능한 지원체계마련의 방향성에 대해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meta-analysis approach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low learners, aiming to investigate their experiences and identify their needs and possible directions to support. Method: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ine qualitative studies. The analysis utilized thematic analysis and inductive categorization methods to extract and organize four central themes and their corresponding sub-themes. Results: Slow learners were found to experience unique emotional and social challenges distinct from thos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ddition to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cognition. While counseling and intervention programs showed positive effects, limitations such as insufficient counseling time, lack of professional personnel, and inadequate cooperation between families and schools were identified.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recommends the establishment of legal foundations, strengthening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enhancing practitioner competencies, fostering family and community connections, and building a long-term case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slow learn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교육 거버넌스를 위한 교육 중간지원조직 운영 정책 방향 탐색: 한국과 일본 사례 고찰에 기초하여
- 지산학 교육공동체 기반 Co-Op교육의 3개년 효과성 분석: 지역인재 정주 및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생·교원·산업체 인식을 중심으로
-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속가능성 요인 탐색 연구
- 초등교육분야 국내 PBL 연구 동향 분석
- 초등일반교사 통합교육 역량 척도 개발 기초 연구
- 학교-지역사회 연계 요소에 관한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참여자의 인식 분석
- 예비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대학 교양 교육과정 편성의 제도적 재구조화 논의: H 종합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놀이학습공동체 기반 보육과정 컨설팅에 참여한 영유아교사의 경험 탐구: 놀이와 교육내용을 통한 배움을 중심으로
- 느린 학습자의 경험에 근거한 지원 요구 및 방향고찰: 질적메타분석
- 예비영유아교사의 아동과 권리 인식연구: 아동권리와 복지 수업의 프로젝트 활동을 중심으로
- 지역문학으로서의 현대시 공간 교수 설계 연구
- 학교상담자의 컨설팅 인식 및 요구조사에 기초한 동료 컨설팅의 과제
- 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에 대한 의미 탐색: 장-뤽-낭시 ‘무위(無爲)의 공동체론’을 중심으로
- 생존분석을 활용한 특성화고 학생의 중도 탈락 영향 요인분석
- 필리핀 유치원 글로벌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변화와 경험: 현지 유아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중심으로
-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언향적 단계 중도 뇌성마비 아동의 요구하기와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의 디지털 기기 사용 역량과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의 성인애착, 역전이 관리능력 및공감피로간관계: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