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Digital Device Usage Skills and Attitudes Toward Digital Device Use on Life Satisfaction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이미아(Mi-A Lee) 김정은(Jeong-Eun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3호, 413~43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를 설명하는 요인으로서 디지털 기기 사용 역량과 이용 태도의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삶의 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자료는 「 2023년 장애인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원자료 중 20세~59세 장애인 1,388명을활용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와 집단 간 차이 검증, 영향 요인 확인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으로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으며 장애 정도가 경증일수록 디지털 기기 사용역량과 이용 태도, 일상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회귀분석에서는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와사용 역량, 학력이 일상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의: 장애인의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한 기기 보급을 넘어 태도 개선과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학력과 장애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디지털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개발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gital device usage skill and attitudes toward digital device use on life satisfaction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aiming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Method: Data were drawn from the 2023 Survey on the Digital Information Gap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 1,388 individuals aged 20 to 59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Results: Younger age,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milder disability severity were associated with higher digital device skills, more positive attitudes, and greater life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both attitudes and skills, as well as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while disability severity had a negative effect. Conclusion: Improving digital skills and attitudes, beyond mere access to technology, is essential to enhancing life satisfac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Developing tailored digital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that consi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is also importa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교육 거버넌스를 위한 교육 중간지원조직 운영 정책 방향 탐색: 한국과 일본 사례 고찰에 기초하여
- 지산학 교육공동체 기반 Co-Op교육의 3개년 효과성 분석: 지역인재 정주 및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생·교원·산업체 인식을 중심으로
-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속가능성 요인 탐색 연구
- 초등교육분야 국내 PBL 연구 동향 분석
- 초등일반교사 통합교육 역량 척도 개발 기초 연구
- 학교-지역사회 연계 요소에 관한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참여자의 인식 분석
- 예비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대학 교양 교육과정 편성의 제도적 재구조화 논의: H 종합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놀이학습공동체 기반 보육과정 컨설팅에 참여한 영유아교사의 경험 탐구: 놀이와 교육내용을 통한 배움을 중심으로
- 느린 학습자의 경험에 근거한 지원 요구 및 방향고찰: 질적메타분석
- 예비영유아교사의 아동과 권리 인식연구: 아동권리와 복지 수업의 프로젝트 활동을 중심으로
- 지역문학으로서의 현대시 공간 교수 설계 연구
- 학교상담자의 컨설팅 인식 및 요구조사에 기초한 동료 컨설팅의 과제
- 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에 대한 의미 탐색: 장-뤽-낭시 ‘무위(無爲)의 공동체론’을 중심으로
- 생존분석을 활용한 특성화고 학생의 중도 탈락 영향 요인분석
- 필리핀 유치원 글로벌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변화와 경험: 현지 유아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중심으로
-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언향적 단계 중도 뇌성마비 아동의 요구하기와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의 디지털 기기 사용 역량과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의 성인애착, 역전이 관리능력 및공감피로간관계: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 입법과 정책
- 한국사회학
-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논문지
- 학지사
- 정보시스템연구
- 정보화사회와 미디어
- 사회과학연구
- 정보화정책
- 특수아동교육연구
-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 한국장애인복지학
- 융합정보논문지
- 특수교육
-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 특수교육학연구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국정관리연구
-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 Computers in Human Behavior
-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 MIS Quarterly
- Poetics
-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 Management Science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