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산학 교육공동체 기반 Co-Op교육의 3개년 효과성 분석: 지역인재 정주 및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생·교원·산업체 인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Three-Year Effectiveness Analysis of Co-Op Education Based on the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Educational Community: Focusing on Regional Talent Retention and Corporat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Perceptions of Students, Faculty, and Industry Partner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박철수(Choul-Soo Park) 공희숙(Hee-Sook Ko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3호, 29~5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3개년에 걸쳐 운영된 지산학 협력 기반 Co-Op 교육 프로그램의 정책적 효과성과 지속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산업체, 교원 총 1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구조화된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을 통해 참여자 간 인식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참여자집단은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실습 기업에 대한 학생의 취업 희망도가 산업체의채용 의향보다 유의미하게 높아, 실습-채용 간 인식 간극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Co-Op교육이 우수인재 지역정주 및 지역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전략임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과 실습의 유기적 통합, 실습-채용 연계 구조의제도화, 학생 중심의 행정지원 체계 정비, 교원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며, 이는 지산학 교육공동체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을위한핵심과제로제안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policy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f the Co-Op education program operated from 2022 to 2024. Method: Based on structur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145 participants—students, industry practitioners, and university faculty—the study quantitatively examined differences in perceptions among the groups. Results: While all participant groups expressed generally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 significant gap was identified between students’ strong desire for employment at their internship companies and the relatively lower hiring intention from the companies, indicating a perceptual mismatch between internship and employment outcomes. Conclusion: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Co-Op education can serve as a key strategy for promoting local retention of talented youth and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regional companies. To achieve this, it is urgent to institutionalize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and practice,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internship and employ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 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교육 거버넌스를 위한 교육 중간지원조직 운영 정책 방향 탐색: 한국과 일본 사례 고찰에 기초하여
- 지산학 교육공동체 기반 Co-Op교육의 3개년 효과성 분석: 지역인재 정주 및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학생·교원·산업체 인식을 중심으로
-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속가능성 요인 탐색 연구
- 초등교육분야 국내 PBL 연구 동향 분석
- 초등일반교사 통합교육 역량 척도 개발 기초 연구
- 학교-지역사회 연계 요소에 관한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참여자의 인식 분석
- 예비교사를 위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대학 교양 교육과정 편성의 제도적 재구조화 논의: H 종합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놀이학습공동체 기반 보육과정 컨설팅에 참여한 영유아교사의 경험 탐구: 놀이와 교육내용을 통한 배움을 중심으로
- 느린 학습자의 경험에 근거한 지원 요구 및 방향고찰: 질적메타분석
- 예비영유아교사의 아동과 권리 인식연구: 아동권리와 복지 수업의 프로젝트 활동을 중심으로
- 지역문학으로서의 현대시 공간 교수 설계 연구
- 학교상담자의 컨설팅 인식 및 요구조사에 기초한 동료 컨설팅의 과제
- 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에 대한 의미 탐색: 장-뤽-낭시 ‘무위(無爲)의 공동체론’을 중심으로
- 생존분석을 활용한 특성화고 학생의 중도 탈락 영향 요인분석
- 필리핀 유치원 글로벌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변화와 경험: 현지 유아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중심으로
-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언향적 단계 중도 뇌성마비 아동의 요구하기와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 장애인의 디지털 기기 사용 역량과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의 성인애착, 역전이 관리능력 및공감피로간관계: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