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Alcohol Addiction Recovery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혜원(Hyewon Lee) 조영선(Youngsun Cho)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8권 제3호, 279~31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들을 메타분석하여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4년 이후 발표된 논문 중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고 회복 경험을 중심으로 다룬 23편을 선정하였으며, Thomas와 Harden(2008)의 주제 합성 기법에 따라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① 자신의 술 문제를 인정하고 개방, ② 가족과 타인의 지지, ③ 회복을 위한 제도 및 프로그램 참여, ④ 내적·외적인 삶의 변화, ⑤ 가치관과 영성의 변화라는 회복에 대한 다섯 가지 핵심 주제가 확인되었다. 회복자는 단순히 음주를 중단하는 것을 넘어, 자기 성찰과 정직한 자기개방을 통해 정서적 전환을 이루고, 가족 및 치료공동체로부터의 지지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회복하였으며, 제도적 지원을 통한 직업 재활과 주거 안정 등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단주를 이어갔다. 또한 자신에 대한 이해와 수용, 영적인 각성과 같은 내면적 변화는 회복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알코올 중독 회복이 심리적, 사회적, 영적 영역에 걸친 다차원적 변화임을 밝히며, 향후 회복 중심의 치료모형 개발과 심리사회적 개입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on the recovery experiences of individuals with alcohol addiction conducted in South Korea, aiming to identify and interpret the core factors that influence recovery. For this purpose, 23 qualitative studies published since 2014 that focused on recovery experiences were select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hematic synthesis method proposed by Thomas and Harden (2008). The analysis identified five key themes related to recovery: (1) acknowledgment and openness about one's drinking problems, (2) support from family and others, (3) participation in recovery-related institutions and programs, (4) internal and external life changes, and (5) shifts in values and spirituality. Recovering individuals not only ceased drinking but also underwent emotional transformation through self-reflection and honest self-disclosure. They restored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support from family and therapeutic communities, and sustained sobriety based on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housing stability. Moreover, inner changes such as self-understanding, self-acceptance, and spiritual awakening functioned as key driving forces of recovery. This study highlights that alcohol addiction recovery involves multidimensional changes across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domains, and it offers foundational insights for developing recovery-oriented treatment models and psychosocial intervention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십우도에 나타난 융의 자기실현과 이동식의 핵심감정 비교
- Interpersonal Trauma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eachers: The Role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 노인의 주관적 기대감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전환기 중국 직업교사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전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가임력을 보존하는 타임캡슐에서 희망고문까지 - 사회적 난자 냉동의 개념적 은유와 재생산 담론의 구성
- Z세대 청년의 커리어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러시아어 동사 делать의 의미-통사적 특성: 사역성을 중심으로
- 알코올 중독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장기 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학습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규제혁신의 정치경제: 문재인 정부 시기 규제샌드박스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